-
-
테메레르 4 - 상아의 제국
나오미 노빅 지음, 공보경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4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다른 책을 집어들었다가 이 책을 발견, 대번에 내팽개치고 겟했습니다.
역시 처자들의 사랑을 받는 책 [테메레르].... 출간된지 불과 4개월이 되었을 무렵인데 서가에 들어왔군요. 제가 알기로 저희 도서관은 구입한 책을 금새 착착 정리해서 서가에 비치하는 그런 곳은 아닌데 말입니다....
날로 용 모에의 증세가 극심해지는 로렌스. 이제 남의 용조차 개죽음당하는 것을 보지 못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습니다. 말기입니다. 회복은 불가능합니다. 가족과 친지 분들께서도 마음의 준비를...(응?)
4권쯤 오니 용이라는 생물의 다양한 생태가 점점 명확하게 밝혀져서 재미있었습니다. 수학 좋아하는 것이 딱히 테메레르의 취향이 아니라, 용 자체가 기억력과 논리력이 비상한 생물이었군요. 대신 문학적, 철학적인 지식은 조금 약한 듯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개인적이고 현재지향적이며 인간의 체제에 전적으로 의존할 뿐 독립하지 않는 이유는, 용이라는 생물의 신체적인 능력이 뛰어난 데에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강한 이빨과 발톱을 가지고, 여차하면 하늘을 날아 안전한 곳으로 달아날 수 있는 용이 굳이 집단을 조직하여 인간에게 대항할 필요가 없죠.
무엇보다 보석이나 권위, 무엇보다 자신과 관계된 인간에 대한 애착으로 금새 낚여버리는 용이란 존재는 참...=ㅁ=)>
아프리카 원주민들과 용의 관계도 그럴싸했습니다. 뒤표지에는 용이 인간을 지배하고 있다고 나와있지만 그건 반쯤 낚시=ㅅ= 인간이 용을 섬기긴 하지만, 일종의 조상신으로 대하는 것이었습니다. 용 또한 알일 때부터 받아들여진 기억과 정이 깊은 성질이 한몫해서 각별한 마음으로 인간을 돌보는 것이니 어지간한 신화 속의 조상신보다 훨씬 상냥한 조상인 셈이죠. 이 세계에서 아프리카 신화 속의 문화영웅(신화학적 용어)은 대부분 용일 지도 모르겠네요.
슬슬 역사의 흐름에서 벗어나고 있는 작품 [테메레르]. 앞으로의 전개가 기대되지만, 그보다 더 기쁜 것은 나폴레옹이 러시아 전쟁 이후 그렇게 허망하게 몰락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점이었습니다. 나폴레옹 같은 인물에 대해 애정은 없지만=ㅅ= 나폴레옹 곁에서 행복해질지도 모르는 리엔을 보니 안타까워서요ㅠㅠ 테메레르랑 로렌스를 갈구긴 하지만 리엔은 도무지 미워지지 않네요... 이번 권에서 로렌스의 활약 덕분에 리엔이 그들에게 갖는 악감정도 조금은 누그러지겠지요. 무엇보다 우아한 용 라이프를 프랑스에 도입하는 리엔, 힘내라! 나는 널 응원하고 있어!ㅠㅠ
...로렌스와 테메레르도 응원하고 있습니다. 넵. 로렌스는 벌써 교수형당한 기분으로 있지만 테메레르와 공군 여러분이 그렇게 냅둬줄 거 같지 않군요. 로렌스가 변이라도 당했다간 테메레르가 지상최강의 투명드래곤이 되어 지구를 정복할 것 같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