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묘촌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긴다이치 코스케가 주인공인 추리소설, [팔묘촌]이 출간되었더군요. 잽싸게 읽었습니다.
추리소설이라고 하지만 [팔묘촌]은 모험활극 분위기가 나는 작품이었습니다. 특히 미로 종유동굴이라든가, 보물지도라든가, 숨겨진 보물이라든가.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재미있는 이야기였겠지만 뭐랄까 요즘 사람이 읽다보니 어쩐지 식상한 느낌이...
...아 왜 식상한지 알 것 같습니다.
[김전일 소년의 사건부]에 나왔던 소재라서네요-=ㅁ=/
벤치마킹을 한 쪽은 당연히 긴다이치 하지메라는 놈일 테지만, 현대 한국인으로서 대부분의 사람이 만화 [김전일 소년의 사건부]를 먼저 읽었을 겁니다. 그래서 할아버지의 이야기가 식상하게 느껴지게 만들다니 긴다이치 하지메란 놈 불효자식이네요.
그러나 할아버지 쪽도 잘했다고는 볼 수 없는 게...
이번 작품에서 긴다이치 코스케는 무능의 극치를 달립니다. 그야 장르가 추리소설인 만큼 희생자가 나오는 것은 어떤 의미 필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마는, 본인 스스로 무능하다고 말할 정도라면 탐정으로서의 신뢰도가 대체..=ㅁ=
뭐 자신의 무능함을 선뜻 인정해버리는 긴다이치도 긴다이치지만요. 보통 추리소설이라는 것은 희생자가 얼마 나오고 사건이 얼마나 꼬이든간에 탐정의 잘난 점을 부각시키는 구조가 대부분이라.
작품 속 이야기를 하자면...
동굴로 도망친 요조는 독살당할 때까지도 반성의 기미는 눈꼽만큼도 없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렇게까지 했으니 츠루는 겁먹고 돌아오겠지. 돌아오면 다시는 도망치지 못하게 해주마'하고 이를 갈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쉽게 상상이 갑니다. 요조 같이 인간말종을 낳은 다지미 가문도 대단해요.... 냉정하게 됨됨이를 판단해서 요조를 철저하게 야단치고 슈지를 후계자로 삼았다면, 32명이나 죽는 참극은 벌어지지 않았겠지요. 신타로도 번듯한 신세가 되었을테고. 그렇게 되었다면 미야코는 어떻게 살았을는지...
....그러고보니 이번 작품은 사랑에 빠진 처자들이 참 강하네요. 미야코부터 시작해서 노리코, 하루요까지. 장정이 한 부대 몰려와도 눈도 꿈쩍 안 하고 날려버릴 것 같은 파워를 자랑하셨습니다.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역자 후기. 긴다이치 시리즈를 잘 알고 있는 역자분이신 것 같아서 멋졌어요. 희생자 대 인명구조의 비율을 따져 '긴다이치 투수의 방어율'을 계산한 부분에서는 폭소했습니다. 뭔가 하나 철저하게 꿰고 있는 사람을 두고 요즘 세상에서는 오타쿠니 매니아니 해서 낮추어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이런 분들이 있어서 세상이 풍요로운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