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산 창원 역사읽기
마산창원지역사연구회 엮음 / 불휘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서가를 하릴없이 배회하다가 발견하고... 뿜은 제목입니다.
...아니 마산이 뭐가 잘났다고 대학 도서관에 향토사 책이....
이렇게 말하는 진냥도 유치원에 입학하기 전부터 살아온 마산에 대해서는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지만요.
그리고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초등학교 무렵 집에서 굴러다니고 있던 [향토의 역사]라는 책을, 단지 할 일이 없다는 것만으로 탐독을 거듭하여, 마산의 향토지리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안다고 할 수 있는 수준은 되어 있습니다.
그런 연유로 아잇쿠 손이 미끄러지듯 대출해버리고 만 이 책. 상당히 불안감을 안고 페이지를 펼쳤습니다만... 의외로 흥미진진해서 다행이었습니다. 헉 모교의 터가 일제 시대 신사 자리였다고라!?라든가, 혹은 그 유명한 가고파의 작사자인 이은상 선생이 상당히 논의가 분분할 행위를 했다든가, 댓거리와 어시장의 유래, 마산만 매립에 얽힌 이야기 등 제법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서술되는 방식이 너무 치우치지 않고 '이 문제는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하는 식으로 완곡하게 묘사된 것이 참 좋더군요. 물론 뜨억스러운 기분으로 읽은 부분도 아주 없다고는 말할 수 없었습니다만....
요전날 추석에 본가에 내려갔을 때, 아버지와 함께 해안도로를 산책했습니다. 제법 멀리 나왔을 때 부두에 푯말이 서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 푯말은 고 김주열 군의 사체가 떠올랐던 장소를 표시하는 푯말이었습니다. 1960년 3월 15일 이승만 정부의 부정선거에 대항하여 마산에서 일어났던 시위 중 이 김주열 군이 행방불명되었고, 한 달 남짓이 지난 4월 10일 바로 그곳에서 시체가 발견되었습니다. 그 결과 다시 한 번 시위의 불길이 당겨져 결국 이승만 정권을 물러나게 하는 데에 이르는 것이었지요.
이 책은 그 푯말이 담은 역사의 한 자락을 다시금 상기시켜주었습니다. 그야말로 생생하게.
이렇게 향토사를 즐기고 있노라면, 역사의 큰 줄기가 이곳까지 이어지고 이 작은 샘에서 시작한 흐름이 시대의 흐름으로 통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고 감탄합니다. 그리고 막연하게나마 실감하게 됩니다.
과거에서 이어져내려온 역사가 지금 개개인의 현재를 만들고, 오늘 이 순간 인류 개개인이 한 일이 역사를 만든다는 사실을.
역사를 안다는 것,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 역사를 만든다는 것은, 인간으로서 이만큼 가치있는 일도 드물고- 또 의외로 그렇게까지 거창한 일도 아니라는 것이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