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
유엑스리뷰 리서치랩 지음 / 유엑스리뷰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엑스리뷰어 9기 마지막 활동 도서로 <UX리뷰 매거진 VOL.2 제페토>를 읽었습니다.  

세계 최초의 UX 전문 매거진《UX 리뷰》는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 중심으로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소개하는 매거진으로 이번 주제는 메타버스, 제페토입니다. 

 

제페토? 피노키오의 할아버지? 이렇게 생각이 됐다면 틀리지 않은 생각입니다. 

메타버스 제페토는 목각 인형을 만들어 생명을 불어넣어 준 제페토 할아버지의 이름에서 

착안됐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메타버스란 과연 무엇일까요?

 

메타버스란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의 Verse를 결합한 용어입니다. 

메타버스는 1992년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처음 사용됐습니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을 의미했지만 현재의 메타버스는 가상현실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에서 사용되며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2018년 네이버제트가 출시한 초기 제페토는 아바타를 만들고 다른 사람의 아바타를 

구경하는 '증강현실 3D 아바타 제작 앱'이었다고 합니다. 이후 제페토는 가상 세계를 만들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발전합니다.

가상세계 제페토 안에서 사용자들은 소통하고 아이템 생산과 소비를 할 수 있으며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기도 합니다. 실제 세상과 다름 없는 또 하나의 세상인 거죠. 


제페토에서는 아티스트와 협연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아티스트의 아바타와 함께 

팬미팅을 하는 등  k-pop  팬덤 문화에도 영역을 넓혀가고 있어요. 

저 또한 제페토를 몇 번 체험해 본 적 있는데 좋아하는 아티스트 때문이었죠. 

그런데 단순히 아바타를 꾸미는 건가? 했던 생각과는 다르게 조금 어렵다는 느낌을 받아서 

그 뒤론 사용을 하지 않았지만요. 


저처럼 제페토를 처음 알게되서 어렵고 혼란스러운 초보자를 위해 매거진에서는 

제페토의 정의부터 아바타 생성, 숏폼 제작하기, 사용자 유형까지 차근차근 설명을 해줍니다. 

또 제페토 사용 경험이 없는 두 명의 20대 사용자가 한 달 동안 자유롭게 제페토를 경험해 보고 

느낀 점을 솔직히 다루기도 하죠.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았어요. 

 

이미 제페토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인터뷰와 제페토 월드, 콘텐츠, 아이템등 

즐길 거리를 직접 창조하는 크리에이터들의 인터뷰도  함께 실려 있어서 

제페토의 매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이 됐습니다.

 

단순히 아타바를 만들어 노는 게임 같은 앱인가 보다,라고 생각을 했었지만 

<UX리뷰 매거진-제페토>를 읽고 나니 그 이상의 다른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현실에서 벗어나 내가 상상한 공간이 현실이 되는 곳이 제페토 같습니다. 

제페토, 혹은 메타버스의 세계가 궁금하시다면 한 번쯤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좋은 책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