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미의 이름은 '세계에서 가장 지적인 추리소설'이라는 찬사를 받는 작품이다. 거장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들 중에서도 걸작으로 꼽히는 밀리언셀러이기도 하다. 이렇게 찬사 가득한 서평에 끌려 책을 펼쳐 보면 일단 문장의 어려움과 엄청난 각주에 놀란다. 초반에 급습해 오는 이런 압박을 극복하고 읽어 나가다 보면 배경의 특이함에 또 놀란다.

이야기의 배경은 사람들에게 흔히 암흑시대로 알려진 중세, 그것도 모자라 범죄라고는 눈 씻고 찾아봐도 힘든 엄숙하고 명망 높은 수도원이다. 홈즈 역의 윌리엄 신부도, 왓슨인 아드소도 신을 받드는 성직자들이다. 이래서야 무슨 얘기가 될까 싶지만 윌리엄 신부 일행이 수도원에 도착한 후부터 사건은 빠르게 전개된다.

영국 출신 수도사인 윌리엄 신부는 살인 사건에 대한 일종의 의뢰를 받고 수도원에 도착할 때부터 셜록 홈즈의 선조다운 비범한 추리력을 선보인다. 그러나 탐탁찮은 태도를 보이는 수도원장이며 척 봐도 수상한 장서관, 수도사들 사이에 흐르는 미묘한 기류가 소심한 성격인 이야기꾼 아드소를 움츠러들게 한다. 그리고 연달아 일어나는 살인사건들 --- 기나긴 줄거리를 몇 줄로 요약하자면 이 정도가 될까.

그러나 중간에 삽입된 여러 신학적 논쟁들이며 수도원과 장서관에 관한 아름다우면서도 난해한 묘사들을 빼면,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부연설명을 다 뺀 플롯은 간단해서 눈치 빠른 사람들은 금방 범인을 알아낼 수 있을 정도다. 어찌 보면 뻔하다 싶은 결말은 지식의 홍수를 힘겹게 헤쳐 가며 끝까지 온 독자들을 허무하게 만들기엔 충분하다.

그러나 이 소설을 고전으로 만드는 것은 추리소설 외적인 부분들이다.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해박한 에코의 중세 관련 지식들은 읽는 사람이 마치 그 시대 안에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나' 로 묘사되는 1인칭 화자가 등장하는 점도 그렇고, 지극히 세밀하다고밖에 할 수 없는 수도원에 대한 묘사나 그 당시 여러 가지 종교 분쟁으로 어지러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는 수도원장과 윌리엄 신부의 대화 등등이 그렇다.

또한 딱딱하고 엄숙한 중세 수도사의 이미지를 탈피한, 명랑하면서도 냉소적인 면이 있는 윌리엄 신부는 참 매력적인 인물이다. 간간이 나오는 그의 유쾌한 농담은 난해한 문장 해석에 지친 머리에 시원한 청량제가 되어 준다고 평가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일까. 어렵다는 말이 서평의 주를 이루고 있지만, 단언하건대 이 책은 분명히 재미있다.

오히려 어려운 책이기 때문에 더욱 재미있었다는 표현을 감히 하고 싶다. 내가 몰랐던 지식들을 새롭게 알아 가는 과정이나 사건의 이면에 담긴 숨은 뜻을 파악하는 작업, 그리고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배하고 있는 긴 문장과 각주와의 전투는 신선한 재미를 주었다. 읽고 난 뒤에 뭔가를 확실히 얻었다는 느낌을 받은 것이다.

책을 덮기 전에 생각해보자. 단순히 '범인이 이 사람이었구나' 라는 정도에서 그치면 곤란하다. '장미의 이름'을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지식이다. 책 자체가 중세 기독교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중심 사건의 원인 역시 장서관이 감추고 있는 지식이었다. 지식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지식이 금기의 이름으로 감춰지면 스스로 권력을 갖게 되고 사람을 지배하게 된다. 살인의 원인이 된 금기된 지식은 알고 보면 아무 것도 아니다. 단지 비밀이라는 사실 때문에 본래보다 훨씬 큰 위력을 발휘하게 된 것이다.

중세를 괜히 암흑시대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지식이 성직자들에 의해 독점되어 무기화되었던, 따라서 일반 대중들은 지식의 암흑 속에 갇혀 있던 시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를 끝내고 근세를 연 원인 중 하나가 지식을 널리 공유하는 인쇄술이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만약 인쇄술이 더 일찍 발명되었다면 소설 속에서 희생된 수도사들은 죽지 않아도 되었을 텐데 - 라는 엉뚱한 생각을 해 보았다. 여러분들은 <장미의 이름>을 읽고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으로 2006-06-19 0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윌리엄 수도사는 많은 오류를 가지고 추리를 이끌어가지만, 우연이라는 행운을 만나서 사건의 전말을 알 수 있었다고 고백하죠. 추리 소설이지만, 진실에 이르는 과정은 많은 우연을 담고 있고 그 속에서 근대와 중세의 대결, 진리에 대한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고를 잘 보여준 소설이라고 생각됩니다. 직관적으로 범인을 알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전말을 알기에는 전개과정에 우연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