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 시공 로고스 총서 2 시공 로고스 총서 2
데이비드 매클릴런 지음, 정영목 옮김 / 시공사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 나라에 알려져 있는 모든 사상가들 중, 칼 마르크스처럼 유명한 서양 사상가는 없을 것이다. 또한 마르크스처럼 사상계에 커다란 파장을 끼친 사상가도 없을 것이고 - 마르크스처럼 왜곡된 모습으로 알려진 사상가 또한 다시 없을 것이다. 사실 학생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한 60년대 이후부터, 마르크스의 저서들은 위험한 혁명 사상을 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대부분 위험한 서적으로 취급당했고, '자본론' 같은 책을 들고 다니는 대학생은 졸지에 불순한 사상을 지닌 사람으로 전락해 버리는 등 - 마르크스의 사상은 우리 나라에서 참으로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아직까지도, 몇몇 보수적인 기성 세대는 마르크스의 이름만 들어도 눈살을 찌푸릴 정도다.

그런데 정작 우리가 마르크스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사람들이 흔히 '공산주의' 라고 생각하는 이념은 마르크스의 공산주의가 아닌, 레닌과 스탈린 같은 사람들이 왜곡시키고 굴절시킨 마르크스의 사상이다. 또한 마르크스가 무작정 투쟁하고 혁명할 것만을 주장한 것도 아니고, 자본주의를 맹목적으로 반대하기만 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하지만 조국의 분단과 이념 대립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우리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객관적이고 순수한 태도로 바라볼 수 있는 자세를 잃어 버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정말로 반갑다. 난해한 감이 없지 않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쉽게 풀어 썼다. 그대로 놓아두면 저절로 딱딱한 뱡항으로 흘러가 버리는 것이 소위 사상서적이라는 책들인데, 작가는 맨 처음에 마르크스의 삶에 대해 간략하게 저술하고 그의 삶과 사상을 연결지어서 이런 분야엔 문외한인 일반 독자들도 읽기 편하게 만들었다. 책의 크기도 작고 두께도 얇으며 글씨까지 큼직하다. 그러면서도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 마르크스 사상의 요점은 알아서 딱딱 끄집어 언급하고 있다. 중간중간에 보이는 오자들(책이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책들보다 많은 양이다)과 체계적인 정리가 조금 모자란 것을 빼면, 마르크스 사상의 입문서로서는 그야말로 '괜찮은'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책 서두에서, 저자는 '마르크스만큼 현대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상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 라고 한탄(?)비슷한 어조로 말한다. 그 말에 전적으로 공감하고, 따라서 특히 우리나라에 이 책이 번역되어 나온 것이 매우 반갑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현대의 사회, 정치사상의 뿌리를 이루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케케묵은 이상주의자의 헛소리가 아니라 우리의 생활에 생생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살아 있는 사상인 것이다. 21세기를 맞아 우리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는 칼 마르크스. 사상이란 무조건 어렵고 골치아프다 - 라는 선입견을 벗어 던지고, 위대한 사상가와의 지적 대화를 나누어 보심이 어떨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