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너에게
벌리 도허티 지음, 장영희 옮김 / 창비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들. 충분히 어른들 못지않을 만큼 사랑의 감정을 나눌 수 있다. 감정을 가진 남자와 여자이니까.
그런데도 어른들은 학생이니까 사랑이라는 말을 들이대길 싫어한다.
사랑이라는 말로 시작하여 결혼을 하고 몸을 부비는 수많은 연인들, 부부들. 정말 순전히 사랑하여 책 속의 주인공 헬렌과 크리스는 자신들도 모르게 사랑을 나눈다.
학생이기에 조심히 그리고 경계하였건만 사랑이라는 감정에 이끌린 단 한번의 섹스.
두 인물에게는 10달 후 ‘대학’이라는 캠퍼스의 자유와 낭만이 가득 기다리고 있는데...'임신‘ 앞에 헐렌의 앞날은 맹인이 되어버린다. 자신의 앞날은 둘째 치고서라도 헬렌이 겪는 마음고생 앞에서는 그저 그의 이야기를 읽을 수밖에 없는 독자여서 미안한 마음까지 든다.
부모님의 보호를 받기에 헬렌의 생각들은 또 한번 부모님이라는 여과지를 거쳐야 한다. 결론은 단 하나, 달갑지 않게 뱃속에 자리 잡은 존재를 아무도 모르게 없애 버리는 것뿐. 어떻게든 유산을 시키려고 뱃속의 아기에게 '나는 네게 이런 짓까지 했어. 이제 내 안에서 떠나 주겠니?‘라는 헬렌.
헬렌의 저 한 마디를 지금 수많은 청소년 아이들은 조용히 혼자서 내뱉고 있을 것이다.
듣기로는 아이들은 임신했을 때 친구들과 낙태 수술을 하러 간다는데 헬렌은 용기를 내어 모범적으로
엄마에게 이야길 하고 엄마와 함께 낙태 수술을 받으러 간다.
엄마.. 고민도 없이 낙태를 결정하고 절대 비밀로 부치고 딸과 함께 병원을 가다니... 인간적이라는 들은 냉정해 보이지만 어쩌면 현명하다는 말이 옳을 것인 줄도 모르겠다.
낭만적인 남자 친구 크리스에게 말해 보지만 시원한 대답이 없다. “어떻게 하지?”
크리스는 헬렌이 자기 자신을 떠날 까봐 걱정이고... 아이를 낳고 싶은 것 같기도 하고 없었으면 하기도 한다
여자 친구도 자신도 대학의 꿈은 사라지고 방에서 애를 보고 있는 신세라니... 정말 맞이하고 싶지 않은 상상일 수밖에.
이렇게 답답한 상황에 헬렌은 누구와 이야기를 나누어야 하는 걸까? 모든 진실을 아고 있는 이름 없는 존재뿐.
헬렌의 앞날을 송두리째 빼앗아 가버린 아기에게 헬렌은 답답하고, 밉고, 속상한 기분들을 늘어놓는다. 그러면서 점점 모성애가 생겨난다.
헬렌은 정말 용기 있게 똘방하고 야무지게도 셋 다 이룬다. 다만 절대로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가족들이 조금씩 도와주어야 하는 상황.
남자 친구 크리스도 대학에 다니고 자신도 대학에 다니고 아기는 엄마가 돌 봐 주고...
헬렌과 크리스가 저지른 일 때문에 그 부모들이 힘들다고? 절대 아니다.
육체적인 노동이 사람들의 시선에 힘들기도 하지. 하지만 더욱 중요한 건 새로 태어난 아기 때문에 가족끼리 표현하기 참 힘든 ‘사랑’할 수 있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말하지 않아도 ‘사랑과 가족’이라는 단어가 영롱하게 가슴 속에 남는다.
죽고 싶은... 울고 싶은... 살고 싶은... 참으로 인간적인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조는 엄청나 웅진 지식그림책 12
조은수 글 그림 / 웅진주니어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세히 보지도 못하고 한번 쓱 훑어 봤다. 그런데도 이 그림책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그 그림책 좋지?라는 말과 함께......

타조는 엄청나. 보통 책을 읽을 때 제먹을 보고 내용을 보는 걸로 마무리가 지어 지는데 이 그림책은 다시 제목으로 돌아가게 만들었다. 정말 타조는 엄청나군......

타조의 단점을 완벽하게 장점으로 만든 그림책. 그 단점이 정말 엄청난 장점으로 태어나는 느낌이란. 더불어 신나게 진행되는 그 경쾌함이란.

'엄청'이라는 단어가 매순간 연발되는 그림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동생 알맹이 그림책 1
프레데릭 스테르 그림, 제랄드 스테르 글, 최윤정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뭔일인지 자세한 내막은 모르지만 귓등으로 듣는 소식에 무슨 텔리비전 드라마 때문에 입양 기관이나 단체가 들고 나섰다고 한다. 또 입양에 관한 드라마들이 속속 만들어 진다고 한다. 그 여세를 몰아 신문에도 큼지막한게 입양에 관한 기사가 날마다 눈에 띠었다.

'신문에서나 드라마에서나 왜 이리 야단법석인지....... 시간이 지나면 또 잊혀지겠지.' 새 것에 금방 흥미를 가지고 또 금방 흥미를 잃어버리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특성이라 생각하고 왜 그랬는지 나는 유독 텔리비전이나 신문에서 '입양'을 (이 대쯤 시사 프로그램에서도 '입양'을 다룬 듯하다.) 달가워 하지 않은 것 같다. 어쩌면 입양이라는 단어만 떠올리면 알 수없이 입양아 수출국 1위라는 숫자를 찾고 싶지 않아서 인지도 모르겠다. 여하튼 그림이 먼저 눈에 띈 책이지만 입양에 관한 그림책도 나왔다.

진짜 동생이라...... 이 책도 '여세'라는 단어에 포함되어 별 흥미없이 그냥 뒤척거렸는데 그림과 함께 읽으면서 왜 가슴이 먹먹해 오는지.... 지금도  "나도 이제 오빠랑 똑같은 색이잖아!'라는 부분에서 코끝이 찡했다. 글도 좋지만 그림 때문에 더욱 그 느낌이 살아 난 것 같다.

이 그림책은 아주 단순하고 간단하고 또한 가볍게 입양에 대한 본질과 해결책을 속 시원히 알려주었다. 객관적이여서 머리로만 보는 신문 기사, 너무 과장이 심한 드라마, 나와 거리가 웬지 멀게만 느껴지는 시사프로그램 들을 뛰어 넘어 이 그림책은 가슴을 울렸다.

주인공 지즐레트나 지즐레트의 오빠의 마음과 행동도 충분히 이해가 되었고 해결책을 모르는 나도 마냥 안타까워 한 것만 같다. 진짜 동생...... 이 그림책을 보며 입양 가족이나 입양아들이 진짜 진짜로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입양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진짜로 바꿔 줄 그림책이기도 한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과 함께 살 때, 잠에서 깨면 체온이 똑같아서 자기몸과 그의 몸을 구별할 수 없었다.


내게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갖지 못하게 된 어떤 것 때문에 생긴 외로움.


행복의 척도는 얼마나 강렬한 일체감을 이루며 살았느냐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는 도대체 인간의 언어가 어떻게 해서 그렇게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깨달을 때까지, 마침내 그 구절의 필요성이 스스로 존중될 때까지 읽고 또 읽었다.-p46

가난한 사람들은 모든 것을 용서해도 실패만큼은 용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그곳에 남아서 사라진 기억들을 보듬고 살아야 한다고 결심했다.-p54

물론 그가 기댁하는 미덕은 그를 과거의 자신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지혜이자 스스로 만든 덫에 빠지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지혜이다.-p106

그런데 키스를 할 때 어떻게 하면 <뜨겁게> 할 수 있지?
세상에, 도대체 어떻게 했길레 그렇게 말 할 수 있단 말인가?
(노인이 너무 궁금해하여 나도 전염 되었나 보다.... 정말 어떻게 해야 '뜨겁게'라는 단어가 나올까? 그 느낌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