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 아프리카
김충원 지음 / 진선북카페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프리카, 언젠가는 떠나보고 싶었으나 자유배낭 여행은 엄두가 안나서 그저 가끔 여행사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패키지 상품들을 알아보기만 하곤 했는데..오늘 도서관에 갔다가 눈에 띈 아프리카란 말 읽기 시작한 책.
결론부터 말하면 가보고 싶은 마음이 더 많이 생기게 했고,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동물들을 스케치를 덧붙여 간단히 설명해준 이 책 덕분에 내 눈 앞에 아프리카의 구석구석이 눈 앞에서 그려지는 듯 했다. (특히나 인상 깊었던 것은 자다가 막 깬 치타를 그린 그림 - 이 작가의 능력에....감탄을 멈출 수가 없었던 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스케치만 대충 한 번 훑어보다 자연스레 책 속에 빠져 들었다. 조류에는 별 관심이 없어서 그 외의 동물들 중에서 지금 당장에라도 달려가 구경하고 싶었던 동물들만 간단히 메모해봤는데도 내 독서수첩 양면 한가득이다. 

자존심이 가장 강한 야생마라서 사람이 유일하게 길들일 수 없다는 말인 얼룩말, '곡예사'라고 불릴 정도로 하늘에서 자유자재로 노닌다는 '붉은 부리매', 뿔이 가루로 만들어져 한국과 중국에 팔리기 때문에 멸종위기라는 코뿔소, 바람에 휘날리는 갈기가 일품이라는 자연 속에 살고 있는(인공 사파리 말고) 사자, 귀엽고 붙임성 좋은 하이랙스란 동물의 해바라기 하는 장면, 자동차도 가볍게 뛰어넘는다는 스프링복이라는 산양, 떼지어 이동하는 모습이 장관인 월드비스트 떼의 이동(이동 중에 새끼를 낳으면 2-3분 후에 네 다리로 서고 함께 이동한다는 진기한 장면도 궁금) 

이 동물들 뿐 아니라 작가가 아프리카에서 카메라 대신 스케치북을 들고 가서 스케치하면서 남들보다 더 오래도록 이러한 것들을 바라보며 느낀 그 많은 것들... 

이를테면 보랏빛 하늘로 책 속에 채색된 은하수 가득한 밤하늘, 새를 바라보고 소리를 구별해보는 일, 웃자라 풀들 위로 랜드로버를 타고 달리면서 그 풀들이 스러지는 소리듣기, 킬리만자로의 눈(eye가 아니라 snow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분화구라는 응고롱고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라는 빅토리아_

이런 점들 서술에만 그쳤다면 2% 부족한 느낌이었을 책을 풍성하게 해주는 것은 _ Save Africa from, AIDS란 구호를 떠올리며 어린 아프리카 아이들을 가여워하는 점(또한 아이들에게 마약을 먹여 아무런 죄의식 없이 사람을 향해 총을 쏘도록 부추기는 아프리카 내 전쟁국가들에 대한 비난), 스케치북을 들고 갔다가 식당에서 외국인들이 너도 나도 그것에 관심을 가지며 말을 걸어오자 "스케치북은 어떤 훌륭한 카메라에 비해 특별하고 가치있는 기록매체인 동시에, 사람 사이의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무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고 한 점, 유럽 고급 레스토랑에서 대부분 바로 수입해가버린다는 나일퍼치란 물고기를 직접 낚시질해 식당에 가서 요리해달라 부탁해서 먹었다고 한 점, 우연히 만난 무당 아줌마와의 에피소드(파리가 그득한 술을 건네자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말아버렸다는...그리고 계속 그 무당의 이야기에 감동을 하며 맞장구쳐주자 감동에 고무된 그녀가 격렬한 무당춤을 보여주었다는...그래놓고 스케치 하고 싶다고 하자 온갖 의상을 준비해서 입고 있다 곯아 떨어져 버렸다는 우스운 에피소드) 

마지막으로 가장 좋았던, 기억하고 싶었던 문장. 

"여행은 헤어질 날짜를 정해놓고 시작하는 연애와 같다."라며 아프리카를 떠나가는 것을 아쉬워하던 말.

아차, 나도 크로키배워보고 싶어졌다. 무척이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숲을 거닐다 - 장영희 문학 에세이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선물 받은 게 까마득한 옛 일이다. 2년 전 여름무렵이었던 거 같은데... 선물 받은 나도 무심하지,, 넘겨서 어떤 내용인지 보지도 않고 조금 따분한 내용일 줄 알고 지금껏 책장에 묵혀두었다. 그러다가 얼마 전 우연히 눈길이 가서 읽기 시작한 책. 

"깐깐한 독서본능"처럼 "문학의 숲을 거닐다"는 본인이 읽은 책들을 소개해주는 책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전자는 조금 객관적이며 비판적인 시각에 입각해 다양한 장르의 책을 고루 언급했다면, 후자는 문학 작품에 한해(작가 : 서강대 영문과 교수) 본인이 일상생활에서 느낀 것들을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서술했다. 

전자를 읽으면서는 '어서 많은 책들을 두루 섭렵해야지!'하는 마음이 들었다면, 후자를 읽으면서는 물론 더 많은 책을 읽지 못했던 점이 부끄러우며 아쉽기도 했지만 '조금 느긋하게 주위를 둘러보는 삶을 지향해야겠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말 그대로 숲을 거니는 느낌이 들게 평안한 기분과 온화함을 가질 수 있게 해준 고마운 책. 

특히나 분노 게이지와 흥분 게이지가 무척 상승했던 어제, 이 책을 쥐고 있으면서 인상 깊었던 "이 또한 지나가리라"란 말은 나의 감정을 삭히고 차가운 이성으로 생각을 다듬을 수 있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 

장영희, 현 서강대 영문과 교수이기도 한 이 분과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으면 하는 욕심이 들었던 나. 도강유혹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능력검정시험 스피드 4급 - 2008
느낌이좋은책 편집부 엮음 / 느낌이좋은책(엑스파일)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대부분의 한자급수책이 총정리형으로 되어있어 휴대가 불편한데 요건 작아서 휴대편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편지하지 않다 - 제14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장은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13.
나는 사진이 절반을 차지하는 여행책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것은 종종 여행을 위한 책인지 책을 위한 여행인지 헷갈리게 한다. 그보다 나는 여행을 과시하는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것은 종종 자신을 위한 여행인지 타인을 위한 여행인지 헷갈리게 한다. 여행을 과시하는 사람은 진짜 가진 게 없어서다. 그래서 나는 여행지에서 사진을 찍지 않는다. 기념품도 사지 않는다. 그건 여행에 방해만 될 뿐이다. 여행은 자유다. 

하지만 여행지에서 글을 쓰는 건 좋아한다. 글은 사진이나 기념품보다 덜 사치스럽고 진지하고 사려깊다. 여행지에서 쓴 글은 거짓이 아니고, 그때의 글은 과시하기 위한 게 아니라 자기를 들여다보고 돌보기 위함이다. 우리의 삶 중 머리와 가슴이 가장 열려 있을 때는 여행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라고 나는 감히 말하곤 한다. 인생 중 가장 생각이 많아지는 시간. 어쩌면 평생을 살아도 해보지 못할, 혹은 못했던 생각을 그때 하게 될 수도 있다. 

p36.
나는 한 번 봉인한 편지는 절대 열어보지 않는다. 밤새 쓴 편지를 아침에 확인하는 건 자기를 부정하는 행위다. 다시 읽어보면 과거의 잘못처럼 삭제하고 싶은 문장 한두 개쯤은 반드시 발견된다. 너무 감정에 충실해서 혹은 용기가 충만해서 생긴 증상이니 부끄러워하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밤에라도 용기를 가질 수 없다면 우리는 평생 비겁하게 살아야 할 것이다. 

p52.
신뢰가 깊어지면 지배가 되기도 한다.

p62.
진정한 외로움은 혼자 있어서 외로운 게 아니라 둘이 있어서 외로운 것이다. 

p75.   

예전에 어떤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면 건강이 좋아진다는 실험결과에 대한 기사였다. 기사에서 박사는 편지쓰기는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울증 감소와 면역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했다. 

p77. <달과 6펜스>에서 나왔다는 구절.

남자가 망신을 당하지 않고 연애할 수 있는 나이의 한계 - 서른 다섯.

p101.
세상은 진실보다 거짓말이 통할 때가 더 많다. 거짓말은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만 몸은 편하게 한다. 

p104. 지구가 날 끌어내린 것이다.

p111.
'과거는 현재를 위해 항상 봉헌되고, 현재는 미래를 위해 항상 희생된다.' - 희생된 나의 오늘은 나의 내일을 눈부시게 빛나게 해줄 것이다. 

p123.
편지를 쓰는 이유.
- 받고 싶어서?
- 받았으니까?

p130.
인간이 가장 섹시할 때는 옷을 벗고 있을 때가 아니라 자기 일에 집중하고 있을 때이다.

p173.  각자에게 할당된 행복의 양이 정해져 있고, 그 행복을 자신의 의지대로 배치할 수 있는 거라면 그 행복은 앞에 놓는 게 좋을까? 뒤에 놓는 게 좋을까?

p186.
'우린 껌처럼 끈끈하게 붙어서 살자. 내 옆에 평생 있어줄래?'
→ '너란 애는 정말 껌처럼 끈질기구나. 지겨워! 이제 좀 떨어져줄래?'

p189.
어떤 책에서 읽었는데, 상대방의 외모나 재능이나 능력을 빼앗을 수 없는 거라서 파괴하려고 한대.

p197.
헤어진다는 건 그런 것이다.
누군가를 만나기 전의 자기 상태로 돌아가는 것.

p204.
남들보다 오랫동안 가슴 설레여야 하고, 오랫동안 목 놓아 기다려야 하는 인고의 편지.

p231-p232.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사랑하게 된 데는 외모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가 필요하고, 또 있어야만 하는 거야. 그 이유들 때문에 남자와 여자는 본능에 집착하지 않고 살게 되는 거고, 외모에서 시작된 사랑은 오래가지 못해. 

p237.
스탕달.
"썼노라, 살았노라, 사랑했노라."

p240.
다시 쓴다고 해서 어제의 그 감정과 느낌까지 다시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어제라는 시간에 한해서, 그 편지는 고유하다.

p243.
불쌍한데, 더 불쌍해.

<기억해두기>
- 751이 작가지만 자신의 책을 직접 팔러 다니면서, 다음 번 소설을 구상하는 것.
- '누락'되는 것에 대한 심한 거부반응.
- 아버지의 발명품이 탄생하는 시기, 집 안에 안 좋은 일이 일어나는 시기랑 맞아떨어지며, 그 사건을 '부제'로!
- 수학 교사인 어머니의 별명 "벼락맞을 마귀할멈" 그 마귀할멈이 미술을 좋아하던 학생에게 한 짓!
-모텔의 방을 화가의 방, 철학자의 방으로 만들어 놓은 소설 속 배경. 그 안에서 주인공들이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고 한 주제모텔 "소설가의 방, 편지를 쓰기 위한 방"
- 와조의 이름의 유래. "도와줘! 나를 위해 와줘!"
- 만나는 사람마다에게 고유의 번호를 부여해주는 소설 속 "0", 그리고 그가 마지막으로 부여한 번호 "751"
- 성형 중독 여동생인 지윤이 수술 전 사진을 모두 불태운 것에 대한 연민의 시선으로 썼던 편지.
- 마지막 반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랑 생각하는 점이 너무도 닮아 있어서 작가가 내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쓴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였다. '작가가 동향 출신이라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우스운 이유 때문일 것이라고 결론을 짓고.. 책을 덮고 다시 한 번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구절을 되짚어 보는데... 읽으면서도 생각한 것이지만 나 역시 "0"처럼 편지여행을 떠나고 싶어졌다. 읽는 내내 당장이라도 떠나고 싶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 일 것이다.

 

학생 신분을 벗어났기에 '취미'란을 적을 필요가 있는 순간은 이제 자주 못 만나보고 있지만, 취미나 특기를 적어야 할 때면 독서나 편지쓰기 둘 중 하나를 번갈아가면서 쓰는 나로서는... 여행이란 것도 무척 매력적인, 항상 바라고 바라면서도 감히 엄두를 못 내는 것이었기에.. 이 주인공이 떠난 3년간의 오롯한 편지 여행은 정말 질투날 정도로 부러운 것임에 틀림없다.

 

물론 마지막에 영화 속 반전!처럼 등장한 주인공의 사연 때문에 그는 떠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었겠지만... 흔히들 사진을 찍으면서 떠나고, 떠나있기 마련인 여행지에서 글을 쓰는 것이 "덜 사치스럽고 더 진지하고 사려깊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었기에 '여자'라는 이유로 두려워 미뤄두기만 한, 그러나 항상 가고 싶었던 혼자하는 자유 배낭 여행 계획(편지도 쓰고 책도 읽으면서 하는 여행)을 어서 세워봐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주인공처럼 편지를 전하고 싶다. 소중한 사람들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관에 가고 싶어지는 미술책 - 탄탄한 그림 감상의 길잡이
김영숙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book Quiz>

1. 신중심의, "성경의 어떤 내용을 그림으로 그릴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미술시대는? - 중세

2. 신중심의 미술사조에서 벗어나 좀더 멋지게, 좀더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 원근법이나 해부학을 연구하여 그리기 시작한 시대는? 르네상스

3. 르네상스 시대 대표 3대 미술인은?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파엘로

4. 이탈리아 중심. 르네상스 시대 이후 '불규칙한 진주'란 의미로, 생동감과 명암을 중요시 하던 미술시대는? - 바로크 시대

5. 프랑스 루이 15세가 루이 14세 이후 수도를 다시 파리로 옮기면서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한 파티 중심의 밝고, 환하며, 즐겁고 낙천적인 그림을 그린 사조는? - 로코코

6. <인상주의 이후> 시대의 미술가로 냄새에도 색깔이 있다며 사물을 보는 다른 시선을 그린 화가는? - 폴 세잔

7.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를 표현하기 위해 화가들이 상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돈 주머니, 후광 없애기, 고양이.

8. 조선시대 김정희가 제주도로 오랜 시간 귀양을 가 있는 동안, 유일하게 등을 돌리지 않았던 이상적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집과 소나무 등을 그린 그림은? - 세한도 

9. 추상화 화가들이 선과 색으로 이미지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면서 쓴 색들 중.. 다른 색을 섞어서 만들 수 없는 가장 본질적인 색은? - 빨,노,파

10. 신 중심 사조에서 인간 중심 사조로 변화한 시기는? 르네상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프랑스 미술관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루브르와 오르세에 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을 때, 대충 준비하고 떠난 배낭여행이라 미리 미술관 가기 전에 미술작품 공부를 못해둔 것이 그렇게 후회되었는데 이후로 지금 5년 이상이 흘렀는데도 아직까지 맘만 먹고, 미술작품 감상하는 안목을 전혀 기르지 못하고 있다. 

그 때 한 미술관에서 여행 끝나고 한국 돌아가면 공부하겠다고, 원서 서적을 몇 권 사오기도 했고.. 그 후로도 미술관련 서적을 몇 권 보기는 했지만... 워낙에 기초가 부족한 탓에 읽고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게 싫어 한동안 담을 싸놓고 있던 찰라, 오늘 도서관에 꽂힌 이 책이 눈에 띄어서 읽기 시작했다. 

물론 다 읽고 난 후인 지금도 미술사의 구분이 헷갈리는 게 사실이긴 하지만... 그래도 읽으면서 미술 교과서나 예전에 읽었던 미술관련 서적에서 접한 작품들의 제목이나 표현양식의 구분이 어디에 속하는 지 등이 생각나기도 해서.. 이런 책들을 여러 번 읽다보면 어느샌가 나도 자연스럽게 대충 어느 선까지는 기억하는 미술 초보감상자는 되지 않을까 싶었다. 

미술 작품 보는 눈을 길러보고 싶은 초보자에게 적당할 것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이나 중학생부터 읽어도 좋을 것 같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