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신화전설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
위앤커 지음, 전인초.김선자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붉은 악마의 깃발이 아마 치우천황기로 알고 있다. 또 고구려고분 벽화를 보면 소의 머리를 하고 이삭을 들고 있는 사람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금번 반기문 유엔총장의 도장에 삼족오가 새겨져 있다.
고분 벽화에 있는 소의 머리를 하고 이삭을 들고 있는 사람은 서양신화의 제우스 격인 황제에 대결한 염제라는 신이다. 또 치우천황깅의 치우는 바로 염제의 신하였고 황제와 싸워 거의 이길 뻔하다가 안타깝게 진 신이다. 삼족오는 태양 속에 산다는 새로 다리가 세 개 달려 있는 까마귀다.
이런 우리나라와 관련된 많은 전설과 신화. 문제는 동일 인물 아니 신들이 바로 중국 신화 속에 함께 살아 있다는 뜻이다. 문화와 환경은 다르고 다른 사고와 역사적 배경이 다르지만 그 반면 교류와 공유라는 이중적 모습을 지니는 것이 근접한 문명 간의 특성이 아닐까?
누가 그랬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중국의 신화와 전설 문화는 중국 즉 한족의 신화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중원이라는 역사적 배경과 문화 속에서 한족이 대부분 그 주인공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많은 소수 민족과 종족들이 그 중원을 차지하기 위해 투쟁을 했고 그 과정 중 그 세력에 비래해 그 문명권의 신화와 전설이 편입되었다는 뜻이다.
이 이야기가 자칫 민족적 기질을 자극하는 말이 될 수도 있지만 한민족이라는 문화 국수주의를 떠나 좀 더 객관적이고 올바른 판단이 되지 않을까?
어쨌든 중국신화전설은 그 이야기를 떠나 이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위앤커의 중국신화전설은 조금 난잡한 중국신화와 전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재미를 가지고 있다. 단순히 나열이 아닌 시대적 수순을 따라 다양한 이야기로 정리해놓은 이 책은 동양적 상상력를 충분히 만끽할 수 있다.
특히 1권에서는 주로 전설보다는 신화적 내용으로 동양적 인문학적 뿌리와 배경을 이해하는 것에 큰 도움을 준다. 서양에서는 어린 시절 아이를 교육시킬 때 그리스 로마 신화를 배우고 라틴어를 공부한다고 한다. 물론 그의 나라가 그리스나 이탈리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런 교육은 시킨 것은 그들의 자체적인 국가 고유의 학문과 인문학적 교양 뿐 아니라 많은 부분에서 라틴 문화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중국신화가 중요한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다. 중국 신화의 이야기 하나를 아는 것이 아니라 신화라는 매개체에서 당시의 세계관과 우주관이 반영되고 또 그런 세계관과 우주관은 철학과 인문학적 배경이 된다. 유교, 도교, 불교의 사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나라에게도 중국의 신화가 의미 있게 다가오는 이유 중 하나다.
어쨌든 재미있고 유익한 책임은 틀림없다. 단지 위앤커 역시 중국인인지라 중국인적 사유에서 자유롭지 못한 면이 아쉽다면 아쉬운 대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