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피터 드러커 지음, 이재규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3년 7월
평점 :
품절


90년대 초에 발표한 책이다. 당시 소련의 붕괴로 인해 사실상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자본주의 진영의 승리감이 그리고 공산주의 진영에는 패배감이 팽배하던 시절이었다. 저자 역시 소련의 붕괴를 통해 공산주의의 실패에 대해 주목한다. 그러나 어리석은 후쿠야마처럼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성급한 지지를 표명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본주의 체제 역시 변할 것이라 예견하며 그 후에 올 체제를 지식노동자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로 보았다.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가 처음 모습을 내보인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돌아보면 일부는 그의 주장이 맞아들어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또한 틀린 것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너무도 중요한 것을 문제제기 하고 있다. 바로 지식노동자의 등장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그것이다.

드러커가 관심을 갖는 것은 기존 자본주의에 있어서 사용자와 노동자와의 관계 즉, 마르크스식의 표현을 쓰자면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와의 관계가 사라지며 노동자는 지식노동자가 될 것이며 기존 자본주의의 동력원이 자본이었다면 앞으로 올 체제는 지식이 될 것이라는 주장은 상당히 흥미있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부 선진국을 보면 그의 주장이 맞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아직도 진정한 자본주의를 완성하고 있지 못한 나라의 경우 자본의 퇴출 후 지식이 동력원이 될 사회, 또한 지식노동자의 등장은 요원해 보인다. 물론 일부 지식노동자의 등장을 목격하기도 하지만 그 지식이 또한 자본의 재투자에 의해 이룩한 부산물이니 그것은 드러커가 주장하는 진정한 지식이 아닌 자본의 또 다른 모습이 아닐까 한다.

오히려 난 그의 주장에서 책임에 기초한 조직에 대한 논의에 흥미를 느꼈다. 특히 요즘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엇갈린 시선은 드러커의 주장에 한번 주목해 봐야 할 듯 싶다. 일부 소위 잘나가는 기업, 그래서 국가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는 기업이 그렇지 않아도 불경기인 우리에게 자존심을 세워주고 있는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사회에서 용납하기 힘든 일들도 서슴없이 저질렀는데 가령 허술한 법을 이용해 정의롭지 않은 부의 상속, 또는 헌법에도 보장되는 노동기본권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 등이 그 예이다. 이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사람에게 기업은 원래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이므로 당연한 것이고 또한 많은 이윤과 또는 일자리를 창출하여 우리 사회에 도움을 주었으니 그 정도 잘못은 참아야 한다는 이해하기 힘든 주장을 하는 이도 있다.

그러나 드러커는 책임에 기초한 조직을 이야기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한다.
<경제적 성과는 기업의 제일차적 책임이다. 적어도 자본비용을 보상할 수 있는 수준의 이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은 사회적으로 무책임한 기업이다. 그런 기업은 사회적 자원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적 성과는 기초이다. 이것이 없으면 기업은 다른 어떤 책임도 수행할 수 없으며, 훌륭한 고용인, 건전한 시민, 좋은 이웃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성과가 기업의 유일한 책임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교육이 학교의 유일한 책임은 아니며, 치료활동이 병원의 유일한 책임 또한 아니다. 권한은 항상 책임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독재가 된다. 또한 책임이 없는 권한은 항상 아무것도 이룰 수 없게 된다. 조직은 권한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사회적 권력이다.>

기업이란 분명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이지만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그의 주장은 요즘 힘을 얻고 있는 신자유주의자들이 경청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를 생각해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風林火山 2009-01-02 14: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Naver Opencast의 "風林火山의 분야별 대표 도서 소개"(http://opencast.naver.com/BK175)라는 캐스트의 캐스터 風林火山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제 캐스트에 발행했는데, 혹시라도 발행을 원치 않으시면 '캐스터에게 한마디'에 적어주시거나, itmedusa@gmail.com으로 메일 주세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