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의 동화책 읽기

<로테와 루이제>


에리히 캐스트너 글/ 김서정 옮김 / 시공주니어

*줄거리
로테와 루이제는 여름 캠프장에서 처음 만난 사이지만 얼굴도 머리모양도 똑같다. 둘이 머리모양을 바꾸면 선생님도 친구들도 모두 깜빡 속아넘어갈 정도다. 로테와 루이제는 둘이 태어난 곳과 생일을 이야기하다가 엄마와 아빠가 같은 쌍둥이 자매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로테는 꼼꼼하고 공부 잘 하고, 엄마 저녁밥을 챙길 정도로 의젓하고 얌전한 아이인 반면 루이제는 말괄량이에 성격도 활달하고 덜렁대는 아이다. 여름 캠프가 끝나가자 로테는 루이자가 되고, 루이제는 로테가 되어 서로의 집으로 향한다.


루이제는 난생 처음 엄마와 지내면서 서툴지만 엄마를 위해 음식을 장만하고 키 작은 아이를 괴롭히는 나쁜 아이도 혼내준다. 로테는 가정부 아줌마가 돈과 살림을 잘하도록 하고 아빠를 잘 보살펴드린다. 그러던 중 지휘자 아빠에게 애인이 생기고 아빠가 로테에게 애인과 결혼하겠다고 하자 그만 병이 나 버린다.

로테가 된 루이제는 루이제가 된 로테에게서 편지가 안오자 은근히 걱정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여름캠프에서 찍은 사진을 엄마에게 들켜 엄마는 쌍둥이들이 꾸민 일을 알게 된다.
로테가 병이 걸린 걸을 알게 된 엄마와 루이제는 아빠가 있는 빈으로 날아간다. 이혼 후 처음으로 재회한 엄마와 아빠는 서먹하지만 다시금 사랑을 확인한다. 병이 다 나은 로테와 루이제, 다시 결혼한 엄마와 아빠는 행복한 가족을 꾸리게 된다.

*읽고 나서
보통 쌍둥이를 소재로 한 작품은 쌍둥이 가족에서 파생된 이야기가 많은데 반해 서로 떨어진 쌍둥이가 가족을 새롭게 만나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는 역구조라서 신선했다. 무엇보다 로테와 루이제의 역할을 바꾸는 과정이 아이다운 천진함과 유쾌함이 즐거움을 전해주고, 엄마와 아빠의 화해를 위해 어려움을 이겨내는 로테와 루이제의 모습이 의젓했고 나중에 몸져누운 로테의 마음이 안쓰럽기도 했다. 쌍둥이라는 소재를 역발상으로 신선한 구성으로 쓴 작품.

*밑줄 긋기
-가벨레 씨는 대개의 어른들과 달리 자기도 한때 아이였다는 것을 잊지 않고 있었다.(143P)
-“로제야, 오늘 무슨 일이 있었니? 꼭 엿새 내내 비 맞은 아이 같구나!”(142P)
-어린 아이의 눈에 눈물이 어려 있는 건 차마 볼 수가 없다! 그 기다란 속눈썹에 마치 바짝 마른 풀잎에 맺힌 이슬 같은 눈물 방울이 매달려 있었지 …… (139P)
-로테는 생활비를 레지 아줌마에게 주지 말고 자기에게 달라고 아빠를 설득했다. 가정부가 문을 두드리고 아이 방으로 들어와 책상에 앉아서 숙제를 하고 있는 아홉 살 난 아이에게 돈을 달라고 심각하게 말하는 것은 뭔가 우스운 일이기는 했다. 레지 아줌마는 뭘 사야 할지, 저녁 식탁에 뭘 차려야 할지, 그리고 다른 집안일에 뭐가 필요한지를 고분고분하게 보고했다.(115P)
-낯선 세상으로 와서 낯선 사람들 틈에 끼여 산지 몇 주가 흘러갔다. 매 순간마다 사고와 위험과 새로운 발견에 맞부딪치는 나날이었다. 수없이 가슴을 두근거리기도 하고, 급한 소식을 전하는 편지가 숱하게 사서함으로 도착했던 나날이었다.(111P)
-뮌헨의 학교 선생님은 꼬마 쾨르너 양이 방학을 보내고 와서부터는 좀 덜 부지런해졌고 덜 단정해졌고 주의력이 산만해졌지만, 그 대신에 더 활발해졌고 ‘전투적’이 됐다는 것을 발견했다.(112P)
-루이제가 ….. 그렇게 혈기가 넘치더니 아주 얌전해지고 분별력도 생겼고요. 거침없고 덜렁대고 호기심도 그렇게 많더니 기특하게도 꼼꼼한 학구파가 되었잖아요.(11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