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 - 배신과 왜곡이 야기한 우리가 모르는 진짜 세계사
나타샤 티드 지음, 박선령 옮김 / 타인의사유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

나타샤 티드 (지음) | 박선령 (옮김) | 타인의사유 (펴냄)

이 책은 진실을 밝히는 책이라기보다는 그걸 감춘 속임수의 그물을 풀고 애초에 그 그물이 왜 존재했는지 살펴보는 책이다.

-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 13페이지

사람들은 저마다 타인에게는 속지 않으려 하면서 본인들은 여러 이유와 핑계를 대며 거짓말을 하곤 한다.

작게는 개인의 이익이나 체면을 위해, 크게는 국가의 이익이나 권력의 쟁탈을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거짓말로 덮으며 어느 것이 진짜 진실인지도 알 수 없게 만들어버리기도 한다.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은 고대 세계, 중세 시대, 근대 초기, 19세기, 20세기의 5Part로 나누어 역사를 바꾼 거짓말을 풀어내고 있다.

학창시절에 배웠던 세계사는 인물의 이름, 주요 사건의 시기와 명칭들을 외웠던 것이 대부분이라 이유나 배경을 깊이있게 찬찬히 짚어보지는 못했었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 중의 하나는 과거로부터 배워 보다 나은 현재와 미래를 그려나가는 것일테다. 그러나 의도를 가지고 거짓으로 채우고 진실을 덮은 역사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우리는 지금도 거짓된 역사에 상처받고 고통스러워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입에 담지 못할 치욕과 만행들이 저들의 모르쇠와 거짓말로 점점 잊혀지고 사라지고 있다. 한쪽에선 거짓말을 진실이라 우기고 한쪽에선 아무도 진실을 알려고 하지 않는다면 오래된 거짓은 진실로 둔갑되어 그대로 굳어버릴지 모른다. 그들이 노리고 있는 것이 어쩌면 그것일지도. 세계사의 많은 거짓말이 역사를 그렇게 바꾸어 온것처럼 말이다.

마녀로 몰린 여자들이 화형을 당하는 영화들을 봐오며 의심없이 마녀의 화형을 믿어왔었는데 종교재판소는 화형을 선호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러나 마녀로 지목되는 것은 누군가의 밀고만 있으면 되었다는 사실은 낯설지 않다. 동족 상잔의 비극이었던 6,25 전쟁이후 반공이 최고의 정치이념이었던 시대에 누군가의 밀고나 신고 하나면 어떤 증거도 필요없이 빨갱이로 몰렸던 억울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드물지만 세상에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저 그사람이 미워서, 그사람의 재산이 탐나서 했던 실종된 양심의 거짓 밀고는 개인의 역사, 민족의 역사도 바꾸어 놓았다. 증거나 목격자는 필요없었다. 본인들이 믿고 싶은 것이 진실이라 우기면 되었다.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에 등장하는 여러 사례의 거짓말들은 이제까지 몰랐던 진실을 알게 해주었다. 그리고 그 오래된 거짓말들이 여러 버전으로 현재에도 반복되고 있는 것을 떠올리게 한다. 사죄와 책임이 뒤따라야할 요직의 정치인들이 "몰랐다", "정확한 보고를 받지 못했다", "아랫사람이 권력남용으로 저지른 것이다"라며 뻔한 거짓말을 하는 것도 어쩜 이리 똑같은지.

'월드'와 '저널'. 가짜 뉴스 생산에 누구보다 앞장섰던 두 신문사. 월드의 풀리처가 그간의 행보를 후회하며 퓰리처상을 제정했다는 사실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분명한 악의를 가지고 여전히 생산되고 있는 가짜 뉴스들은 누군가의 생명을, 정치 생명을 노리고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 거짓말로 권력을 잡아보려는 시도도 세계 여러 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눈 가리고 아옹"이랬던가. 그 거짓말의 끝이 어디인지도 역사가 말해주고 있을텐데.

잘못 알고 있었던 역사,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거짓말들을 이제는 속고 싶지 않다면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거짓말』을 읽어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