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에디터스 컬렉션 15
메리 셸리 / 문예출판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지음) | 임종기 (옮김) | 문예출판사 (펴냄)

책을 주제로 강연하거나 토론하는 티비 프로그램을 종종 보곤 한다. 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보게 된 '알쓸인잡'. 그날의 주제는 '메리 셸리'였다. <프랑켄슈타인> 재독을 마음에 두고 있던 터라 토론의 주제였던 '메리 셀리'는 매우 흥미롭게 들렸다. '메리 셸리'하면 자동반사처럼 떠오르는 프랑켄슈타인. 그날 알쓸인잡에서 알게된 프랑켄슈타인의 새로운 해석들은 놀라움을 넘어선 충격과 환희였다. 그래! SF소설의 효시라는 이유만으로 이토록 오래 사랑받고 추천되어질리가 없지!

처음으로 프랑켄슈타인 완역본을 완독했던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 '역시, 아는 내용이라고 다 아는건 아니었어!' 생명의 창조라는 신의 영역을 넘본 인간의 오만함과 인간이 창조했으나 이름조차 주어지지 못한채 버림 받아야 했던 저주받은 생명의 가여움이 절절하게 아픔으로 와닿았던 첫 완독에 이어 번역자를 달리해 재독했을 때에는 '악은 타고나는 것인가,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했다. 그러나 알쓸인잡을 통해 알게된 새로운 해석! 이 이름없는 괴물의 존재가 유럽의 강국들이 식민지를 정복하며 전리품처럼 들여온 흑인 노예를 상징하고 있다는 해석은 전혀 짐작도 하지 못했다. 그의 거대한 신체와 엄청난 괴력은 흑인의 건장한 신체를 상징하고 부여받은 창조된 생명은 노예 해방을 상징하고 있었다니! 노예 해방을 찬성하는 편이었다는 메리 셸리는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통해 묻는다. "그들을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가?"라고...

외로움, 절망, 고독...

사람들과 어우러지는 평범한 삶을 살고 싶었으나 흉측한 외모때문에 괴물로 정의된 그에게 돌아오는 것은 공포와 혐오였다. 창조자에게서조차 거부당한 그는 이름도 주어지지 않은채 자신을 이해해 줄 단 한사람이 절실했다. 부모에게 버림받고 거부당한 아이의 심정이 이러할까.

그러나 프랑켄슈타인의 죽음 앞에 괴물이라 불리던 그의 선택 또한 죽음이었다. 자신을 이해해주지는 않았지만 이해해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의 죽음은 무명의 그가 느끼는 고립감의 최절정이지 않았을까.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마지막까지도 괴물을 만들어낸 것에 대한 후회만이 있을 뿐, 그를 버린 것에 대한 후회나 반성, 연민은 끝까지 볼 수 없었다. 프랑켄슈타인으로부터 그토록 철저한 버림을 받지 않았더라면 무명의 그가 내면마저 괴물로 변하는 일은 피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지금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는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로 이름도 모르는 대상을 향한 비난과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 누군가를 행동보다 외모, 피부색, 국적, 배경 등을 이유로 '우리'라는 울타리에서 밀어낸 적이 없는지 돌아볼 일이다. 과연 누가 진짜 괴물인지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