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여섯 개의 돌로 남은 미래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박초이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기문화재단 선정작] 스물여섯 개의 돌로 남은 미래

박초이 (지음) | 교유서가 (펴냄)

정말 무서운 것은 아무리 노력해도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경기문화재단 선정작] 스물여섯 개의 돌로 남은 미래 표지글 중에서

다홍이라는 이름의 반려묘를 기르는 방송인 박수홍 씨가 방송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나는 내가 다홍이를 돌본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다홍이가 나를 돌보고 있었다" 라고.

<스물여섯 개의 돌로 남은 미래>에서 구는 정말 미래를 돌본게 맞을까? 미래를 혼자 둘 수 없어 여자친구를 사귀었다는 구에게선 왠지 미래를 향한 애정이 느껴지지 않았다. 미래 뿐만 아니라 그 누구를 향해서도 진정한 애정은 볼 수 없었다. 미래의 위험을 알면서도 침묵하던 구는 자신의 관심과 애정을 기다리는 여자들을 이용했을 뿐이었다. 믿음을 가지고 과거를 털어놓은 '나'의 얘기를 타인에게서 다시 듣게 만든 참담함, 미래를 화장하고 스물여섯 개의 돌로 만들어 미래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던 지안에게까지 나누는 모습 등 구의 행동들은 자상함을 가장한 폭력이었다.

떠난다는 것은 돌아올 곳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일테다.

돌아올 곳이 없는 떠남은 떠돈다는 말이 더 어울리니 말이다. 그 목적지가 공간적인 장소일 수도, 인생의 목표일 수도 있겠지만 지치고 힘들때 최후의 보루처럼 몸과 마음을 뉘일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은 넘어져도 일어설 힘을 내도록 만든다.

떠나고 싶다는 바램을 가져보면서도 마음만큼 쉽게 떠나지 못하는 것은 늘 핑계대었던 돈과 시간의 여유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결단과 용기가 부족한 이유가 더 크지 않았을까. 방향이나 목적지가 같은 동행자를 만나면 고난의 경험도 때로는 즐거운 추억이 되듯이 인생의 굴곡에서 공통점을 가진 이를 만나게 되면 고행같은 그 길이 외롭진 않다. 그 동행자는 친구일 수도 있고 반려자일 수도 있고 새롭게 시작하는 인연이 될 수도 있다. <사소한 사실들>의 '나'에게 셰어하우스의 두 동거인이 그러하듯이.

떠나고 싶지만 떠나지 못하고, 떠난 이를 기다리고, 떠나기 위해 용기를 내는 세상의 수많은 나를 응원하고 싶게 만든 두 단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