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쿠로스 쾌락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7
에피쿠로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피쿠로스 쾌락

에피쿠로스 (지음) |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펴냄)

어떤 욕망에도 흔들림 없이 살게 하는 '아타락시아'를 누리는 길

-<에피쿠로스 쾌락> 앞 표지글 중에서

'쾌락'이라는 단어를 마주했을때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느낌이나 생각이 긍정적이지는 않다. 무분별, 무절제, 반이성적인 욕망을 한껏 머금은 냄새를 풍기기 때문이다.

'쾌락주의'하면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하면 '쾌락주의'로 직결되는 이 둘의 조합은 자칫 에피쿠로스에 대한 오해로 이어지기 쉽다.

에피쿠로스가 추구했던 쾌락은 이런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고통의 반대말일 뿐으로 오히려 그 안을 들여다보면 요즘 현대인들의 가치관인 무소유나 미니멀리즘, 내려놓음에 가까워 보이기도 한다. 에피쿠로스가 활동했던 시기가 기원전임을 생각해보면 시대를 앞서가도 가히 혁명적으로 앞서갔다고 할 수 있다. 도시국가로서 안정된 번영기를 누리던 아테네가 쇠퇴하고 혼란기에 접어들면서 실존주의적인 철학이 필요했던 시기와 에피쿠로스의 활동기가 맞물린것도 신의 한 수라 할 수 있겠다.

에피쿠로스는 데모크리토스의 자연철학을 토대로 한 유물론자였기 때문에 인간의 영혼과 신도 물질적인 존재로 보았다.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 중에서 가장 큰 두려움인 죽음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죽음을 두려워 하는 인간들이 종교에 의지하고 신을 숭배하는 모습은 식상하리만치 흔하다)

p109. 우리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죽음은 우리에게 오지 않고, 죽음이 우리에게 왔을 때는 우리는 이미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내일의 행복을 위해 오늘의 행복을 저당잡히는 삶이 아닌 오늘의 행복을 위해 오늘을 열심히 살자는 사고방식과도 통한다. 오늘의 행복이 쌓이면 어제의 내일이었던 오늘이 계속 행복할 것이니.

에피쿠로스는 모든 고통과 두려움에서 벗어난 상태를 최고의 쾌락이라 하고, 쾌락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아 단순하고 소박한 삶을 추구하였으니 오늘날 우리가 쾌락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그러나 고통과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과연 가능할까? '아타락시아'(마음이 두려움에서 해방되어 평정한 상태)와 '아포니아'(몸 고통의 부재)를 위해서는 우선, 자유가 있어야 한다. 욕망으로부터의 자유가. 작은 것에 만족하고 감사하는 마음, 이것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마음 비우기와 무소유, 내려놓음에 통한다.

몸의 고통은 현재적이지만 마음은 과거 일과 현재 일과 미래 일에서 고통을 느끼므로 마음의 쾌락이 몸의 쾌락보다 더 크다고 보았던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우리가 요즘 시도때도없이 소망하는 '힐링'과도 유사하다.

읽어볼수록 요즘의 우리에게 필요한 철학이 아닌가 싶다.

가져도 더 가지려 하는데서 오는 마음의 고통과 그에 따르는 몸의 고통은 만족을 모르는 욕망에서 비롯된다.

쾌락은 자극적인 것이 아니라 작은 것에 만족하고 감사할 줄 아는 평정심에서 오는 것임을 기원전 철학자 에피쿠로스에게 배우는 뜻깊은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