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열린책들 세계문학 283
버지니아 울프 지음, 공경희 옮김, 정희진 분류와 해설 / 열린책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지음) | (옮김) | 열린책들 (펴냄)

의식의 흐름이라는 수식어 만큼이나 버지니아 울프에게 붙는 또 하나의 꼬리표, 페미니즘 작가. 그러나 정작 그녀는 자신이 페미니즘 작가로 불리우는 것을 원치 않았었다고 한다. 여성의 차별에 대한 부당함을 말하고 싶었다기 보다는 그저 남자와 여자를 떠난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얘기가 하고 싶었던 것일지 모르겠다. 진정한 페미니스트는 약자라는 이유로 여성이 보호받고 면책의 특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기에 받는 차별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무조건적인 배려와 양보, 보호도 차별의 다른 모습일 뿐이다. 역차별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평등도 기대할 수 없다.

버지니아 울프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자기만의 방>.

도서관 이용조차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 여성들의 처지로 시작해 남성의 소유 아닌 소유물로, 명령을 거부하면 방에 감금되어지고 폭력에 시달리는 사실이 별다른 사건 사고랄 것도 없이 평범함이던 시대들. 고양이에게 조차 있는 영혼이 여성에겐 없다는 무시와 여성이 쓰는 글을 누가 읽어주겠냐는 비아냥 속에서도 자의식을 가진 여성들의 고뇌와 번민 속에 오늘날이 되었다.

글을 쓰는 행위가 여성에게는 자유롭지 못했던 시절, 쓰고 읽는 것을 감추어야 했던 여성들이라고 해서 그것들에 대한 욕구마저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자신을 드러내고 당당하기를 원했던 여성들은 시대를 앞서갔다는 이유로 많은 질타와 모욕을 감수해야만 했다. 시대를 너무 앞서갔던 여성들은 똑똑함을 인정받지 못하고 되바라짐의 대표 명사처럼 되었다. 외국의 여성들에게만 있었던 일은 아니다. 우리의 근현대사에서도 나혜석과 전혜린 등 그런 여성들의 예를 찾아보기는 어렵지 않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아를 찾는 것이나 자아를 드러내는 것과도 통할지 모르겠다. 버지니아 울프는 '살아있음'을 쓰는 행위로 표현하고자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여성이 자유로워지기 위해 필요했던 것은 '돈과 개인적인 공간'이라고 <자기만의 방>을 통해 말하고 있다. 그것들을 통해 버지니아 울프가 진정으로 원했던 누구에게도 종속되지 않는 자유가 아니었을까? 현대를 살아가며 무엇에도 누구에게도 종속되지 않는 자유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그런 자유가 존재할 수는 있을까?

울프가 현재에 다시 글을 쓴다면 거기에 보태어 시간도 필요하다고 할지 모르겠다. 돈을 벌기 위해 시간과 맞바꾸는 일은 자기만의 공간을 누릴 수 있는 여유가 줄어드는 아이러니가 되어 버렸다.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고, 그 돈을 위해 시간을 지불함으로써 정작 하고 싶은 일을 할 시간이 없는 아이러니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일이 되었다. 자유를 누리기 위해 자유를 저당잡히는 삶이라니...

그녀의 글에선 왠지 인간의 외로움이 느껴진다. 굳이 여성이 아니더라도 군중 속에서 익명으로 살아가는 불특정 다수가 자유를 위해 돈과 개인적인 공간이 필요한 것은 이제 남녀 모두의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