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개 이야기
마크 트웨인 지음, 차영지 옮김 / 내로라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개 이야기

마크 트웨인 (지음) | 차영지 (옮김) | 내로라 (펴냄)

인면수심의 행동을 하는 사람을 두고 흔히들 "개만도 못하다"고 한다. 사람들의 충직한 친구로 일상을 함께하는 개들의 입장에선 가만히 있다가 욕을 먹는 어이없는 상황이다.

"인간을 알게 될수록, 내 개가 좋아진다"는 마크 트웨인의 말은 곱씹어 볼수록 인간성의 결여, 인간에 대한 실망이 비춰져 서글퍼지기까지 한다.

위기의 순간에 주인공인 개(에일린 마보닌)는 이성을 발휘해 불길 속에서 자신의 도피보단 아기를 구했고, 주인 남자(그레이 박사)는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채 본능적으로 개에게 위협을 가했다. 둘이 생각했던 위기는 달랐지만 위기에 대처하는 행동은 더욱 더 달랐다. 과연 누가 더 인간적이었을까?

많은 신약과 생필품들이 쥐, 토끼, 개 등의 동물실험을 거쳐 발명되고 발전되어 왔다. 보지 않았지만 알고 있던 사실이었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며 깊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자의적인 희생이 아닌 타의적인 학살에 가까운 동물실험을 같은 인간에게 행해진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동안 가볍게 여기고 있었던가 보다. 도덕과 윤리의 기준과 가치는 불변하는 절대가치가 아니다. 시대와 문화의 차이에 따라 공공의 이익이 최선이 되는 것을 도덕적 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동물실험으로 과학과 의학의 눈부신 발전을 가져온 과학자의 업적이 당대에는 칭송받다가 후대에는 생명의 존엄성을 이유로 그 업적이 퇴색하는 일도 시대가 원하는 윤리의 기준이 변화하는 것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거창한 단어를 수집하고 오남용하는 엄마를 보며 조지오웰의 <동물 농장>이 연상되었다면 지나친 확대일까? 뜻도 모르면서 유식해 보이고자 과시하기 위해 쓰는 단어는 진정한 가치도 모르면서 허세를 부리기 위해 수집하는 인간의 욕망과도 닮았다. 그런 엄마를 따르는 다른 개들과 허세로 자신을 부풀린 사람의 주위에 모이는 또 다른 사람들. 자신들이 열광하는 것의 참가치를 알고는 있을까? 때로는 껍데기 뿐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씨앗을 심은 뒤 싹이 돋아난 것을 보았던 마보닌은 새끼의 무덤 앞에서 잘생긴 개로 다시 피어날 기대에 기뻐했다. 뒷장으로 넘어갈수록 예감되었던 결말이지만 슬픈 마음이 드는 것은 피할 도리가 없다.

개의 시점으로 진행되어 사람들의 이야기가 보다 더 객관적으로 보였다. 대의를 위한다며 소수와 약자의 원치않는 희생을 당연시 여기는 폭력을 지식인과 권력자의 고뇌로 여기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다수를 위한다면 소수의 희생은 감내해야만 하는걸까? 그런 권리는 누가 주었나? 지금도 어딘가에서는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을지 모를 소수의 희생이 대의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자신들의 윤리가 타당하다 외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