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김도연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 김도연 (옮김) | 1984books (펴냄)

자유와 사랑, 가벼운 마음을 향한 여정

-<가벼운 마음> 뒤표지글 중에서

프랑스 영화를 볼 때는 뒷 배경으로 잡히는 책장의 디테일까지도 눈여겨 보아야 한다는 어느 영화평론가의 말이 떠올랐다.

주인공이 머물거나 지나는 장소의 한 컷 배경일 뿐이지만 책장에 꽂힌 책들을 어떻게 꽂아 놓아야 가장 아름다운 화면으로 보여질지 사소한 디테일 하나하나 무척 심혈을 기울여, 스크린 속 배경이 되는 장면이 말그대로 '영화의 한장면'처럼 아름답다는 얘기였다. 크리스티앙 보뱅의 <가벼운 마음>을 읽으며 오래전에 들었던 영화평론가의 말이 불현듯 떠오른 데에는 주인공 뤼시의 인생을 스쳐간 이들에게서 그런 디테일을 보았기 때문이다.

첫사랑이었던 늑대를 묻고 그 무덤을 찾았다가 만난 간호사 아줌마가 들려준 우울증에 관한 설명은 전혀 우울하지 않고 낭만적이기까지 하다. "p20. 우울증은 월식 같은 거야. 달이 마음 앞에 슬며시 끼어드는 거야. 그러면 마음은 자신의 빛을 더는 내지 못해. 낮이 밤이 되는 거란다." 이름마저도 시인스러운 시인, 보뱅. 소설에서도 시적 표현이 넘쳐난다. "p80. 내 마음은 바람이 드나드는 통로가 된다." 하...이런 표현이라니! 마음이 젖어든다.

가벼운 마음을 가진 주인공 뤼시. 뤼시의 가벼움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가벼움과는 다르다. 너무 작고 사소해서 무심하게 지나치는 행복과 일상들을 가볍다고 말하고, 어디에나 있는 그 가벼움을 우리가 믿을 수 없을 만큼 챶기 힘든 이유는 어디에나 있는 것을 단순하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기술 부족이 그 이유라고 말한다.

사랑은 다른 어디에도 아닌 사소한 것들에 깃들어 있다는 것과 가장 중요한 것은 즐거움이라는 것을 배우고 깨달으며 뤼시는 성장해 나간다.

한 사람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가고, 한 사람이 사라졌으니 다른 사람도 사라지는게 옳다는 뤼시의 만남과 이별들. 구속보다는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며 그녀가 하는 사랑도 헤어짐도 보통의 사람들과는 다르다. 정신병원에 수용될 요양원의 할머니를 데리고 떠나는 여행도 의미심장하다. 뤼시가 가출을 시작했던 곳, 서커스단으로 향하는 여행. 맨처음 떠나온 곳으로 돌아가는 그녀의 행보는 모든 것을 되돌리고 싶은 탕아의 후회가 아니라 진짜 자유와 진짜 가벼움을 가진 자의 여유와 선택이지 않을까.

"웃음은 스스로를 위로하는 눈물이다"라는 본문의 한 줄을 보니, 이 소설에서 가장 많은 눈물을 흘린 사람은 뤼시의 어머니가 아니었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뤼시는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직감을 수호천사라 불렀다. 그 수호천사가 엄마에겐 없었던 것일까? 깨어나자마자 좋은 날씨와 죽음을 기다리는 노부인은 뤼시를 향해 '나의 천사'라 부른다. 정신은 잃어가는지 몰라도 어디를 향해야 하는지 아는 그녀는 자신을 잃어버리는 일은 없을지도.

소설 속의 디테일과 심쿵하는 표현들이 이 <가벼운 마음> 한 권으로 크리스티앙 보뱅의 이름을 기억하게 만들었다. 보뱅의 다른 작품들도 더 읽어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