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 ‘신이 죽은’ 시대의 내로남불
허경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허경 (지음) | 세창출판사 (펴냄)

내로남불. 언뜻보면 사자성어 같지만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줄임말로 같은 행위에 대해서도 다른 잣대를 들이대는 주관적, 편파적 관점을 꼬집는 말이다.

자신이 그렇게 행동한 것에 대해서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고 구구절절 핑계를 늘어놓으면서, 타인의 잘못에 대해서는 도덕적 잣대와 법률적 기준으로 객관적인 비판을 하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티끌만한 오점도 돋보기로 들여다보는 것처럼 확대하기를 좋아한다. 그런데 이 기준이라는게 참 웃긴다. 기준은 누가 정하는가? 절대 권력자가? 혹은 절대 다수가?

과거 봉건제 시대나 신분제 사회에서는 신분이 높은 소수의 강자들에 의해 기준이 정해지고 나머지 다수는 이유불문하고 따라야만 했다. 합리성보다는 소수 지배권력자의 편리와 이익에 부합되면 그것이 곧 법이고 도덕이었다. 현대에 들어서며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다수의 합의가 기준이 되는 일이 많아졌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꼭 합리적이고 옳은 것도 아니다. 어느쪽으로 기준이 서더라도 불만인 사람은 있기 마련이다.

이제는 강자만이 힘을 갖는 시대도 아니다. 오죽하면 '을질'이라는 말이 생겼을까. 약자라는 위치를 오히려 무기 삼아 벌어지는 불합리와 역차별은 시대 유행처럼 번지며 정당한 공권력에도 공권력 남용을 외치고 근거없는 미투로 한 사람의 인생을 나락으로 쳐박는 일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본인은 정의구현이라는 자기합리화로 큰 목소리를 내는 것에 주저함이 없었을 것이다. 그것도 아니라면 아주 뻔뻔하거나.

강자에겐 약하고 약자에겐 강한 비겁함과는 다르게 강자에게 강하게 나가면 그것이 곧 정의라 믿는 어리석음도 경계해야 한다. 강자가 항상 나쁜 것도 아니고 약자가 항상 옳고 억울함만 있는 것도 아니다.

저자는 책 본문 3장의 "니체에 이르는 길"에서 여러 철학자의 주장을 거론하고 비교함으로써 이런 것들을 얘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내로남불은 시대가 낳은 신조어지만 내로남불의 행위는 인류의 역사만큼 오랜시간 함께였다.

내로남불의 영역이 개인간의 문제일 때는 도덕성에 관한 것이 주로 쟁점이 되지만 다수와 집단으로 범위가 넓어지면 권력과 정치가 결부되기 쉽다. 승자와 패자가 나뉘고 승자의 관점이 옳은 것으로 인식되면 그 외의 것은 틀린 것이 되어버리는 현상은 슬플정도로 익숙한 일들이 되어버렸다. 매번 선거때마다 펼쳐지는 내로남불은 청문회에서는 그 빛을 더욱 발한다. 팔이 안으로 굽는 것을 넘어서서 내편이라면 팔을 밖으로도 굽히는 기상천외의 융통성마저 보인다. 그러나 편이 다르면 다름을 다름 자체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틀림으로 규정하고 비판을 넘어서는 공격까지 서슴지 않으며 관점과 이익에 따라 정의와 진리는 교묘히 모습을 바꾼다.

정치적 현상은 존재하지 않고 현상에 대한 정치적 해석만이 있다는 저자의 견해에 동의한다.

내로남불, 정치판만큼 잘 어울리는 곳도 없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