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행복론 - 97세 경제학 교수가 물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
리처드 이스털린 지음, 안세민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적 행복론

리처드 이스털링 (지음) | 안세민 (옮김) | 윌북 (펴냄)

행복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나이, 성별, 체제에 따라 행복이 어떻게 달라질까?

행복해지는 방법은 뭘까?

얼마나 부자가 되어야 행복할까?

-<지적 행복론> 표지글 중에서

행복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탄생에서 죽음으로 이르는 인생의 과정에서 행복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많은 이들이 살아가고 있다.

행복해지기 위한 조건들을 열거해 본다면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인 풍요, 부를 가장 먼저 손꼽을 것이다. 여러 조사와 실험 결과는 행복과 부가 반드시 정비례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거액의 복권 담청자들이 끝내는 비참한 결과를 맞이했다는 후기들로 이를 뒷받침한다. 부자라고 모두 행복한 것은 아니지만 부자라고해서 모두 불행한 것도 아니다. 경제적인 부가 행복의 필수요건은 아니지만 충분조건은 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물론이고 경제학자들까지 행복에 대해 연구한다는 것은 부와 행복 사이의 연관성이 아주 없지는 않다는 반증일 것이다.

무소유의 가치관을 지향하는 소수의 달관자들은 '공수레공수거', 어차피 왔다가는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이 인생이라고 하지만 살아가는 동안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단 사실은 부정하지 못한다. 아프거나 병들었을때, 존엄한 죽음을 위해서도 역시 돈이 필요하다. 물질 만능을 옹호하자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금전적인 대가도 필요하다는 얘기다. 빈곤한 국가들보다 부유한 복지 국가의 행복도가 높다. 부유한 국가의 경제 성장보다 고용과 사회안전망 정책 때문이라고 저자는 얘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안전망을 꾸리고 집행하는 예산도 결국 돈에서 나오는 것을 부정할 수 있을까.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을수록 갖고 싶은 것도 많아질 수 밖에 없다는 저자의 생각에는 공감한다. 행복을 결정짓는 요인은 경제력과 더불어 건강, 가족, 인간관계 등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하고 개인의 상황과 맞물려 변화하고 개인차를 보인다. 끊임없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가진 것보다 가지고 싶은 것과 결핍된 것에 집중하다 보면 행복은 영원히 잡히지 않는 신기루가 될 것이다. 리처드 이스털링은 경제학자답게 수치와 통계로 행복을 풀어나가며 설명하고 있지만 그 결과를 모든 것에 일반화하기에는 우리의 정서나 상황과는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행복이라는 추상적이고도 주관적인 기준과 만족감에 백퍼센트 딱 맞는 결과는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 아닐까.

대체로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을수록, 그리고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 적을수록, 행복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당연한 해답은 행동과 마음먹기로 옮기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지 않고 타인의 시선에선 행복해 보이는 사람이 자신 스스로는 행복하지 않은 이유일 것이다.

여성과 남성, 젊은이와 노인, 국가의 정치체제, 종교, 환경에 걸친 폭넓은 차이는 개인의 만족이라는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행복의 차이도 보인다.

행복혁명은 그 근원이 과학혁명에 있다고 하지만 행복의 주체가 되는 자신 개개인의 혁명이 먼저 바탕이 된다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