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양장)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1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설희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지음) | 최설희 (옮김) | 앤의서재 (펴냄)

남존여비, 삼종지도. 요즘의 아이들은 이 말의 뜻을 알까?

역사의 흐름 속에 많은 여성들의 몸부림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권리를 박탈당한 차별에서 여권신장을 거쳐 (진정한 평등과 페미니즘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남녀평등, 페미니즘에 이르렀다.

글을 쓰는 행위가 여성에게는 자유롭지 못했던 시절, 쓰고 읽는 것을 감추어야 했던 여성들이라고 해서 그것들에 대한 욕구마저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자신을 드러내고 당당하기를 원했던 여성들은 시대를 앞서갔다는 이유로 많은 질타와 모욕을 감수해야만 했다. 시대를 너무 앞서갔던 여성들은 똑똑함을 인정받지 못하고 되바라짐의 대표 명사처럼 되었다. 나혜석,전혜린. 외국의 여성들에게만 있었던 일은 아니다.

그리 멀지않은 과거에 남자들은 여자들을 무식하다며 무시하는 일이 종종 있곤 했다. 하지만 여자라서가 아니라 교육의 기회를 가져보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이제는 여성들도 공평하게 교육의 기회를 갖는다. 더 이상 여자라서 무식하다는 얘기는 없다.

진정한 페미니즘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 것이다. 동등하게 대우받고 공평하게 기회를 갖는 것이다. 여성은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여성이라는 이유가 차별과 냉대의 이유가 되어서는 안되지만 무조건적인 배려와 보살핌을 받는 특별한 존재가 되어서도 안된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물론 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 나는 여자다.

여성이 자유와 최소한의 권리, 자존심을 지키기위해 필요한 것은 자기만의 공간과 돈이라고 버지니아 울프는 말하고 있다. 주방과 거실처럼 공용 공간을 제외하면 개인적인 공간이 없기는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이것이 꼭 여자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리고 자기만의 방이 있다고 하더라도 오롯이 즐기고 느끼며 쉴 수 있는 시간(취침을 제외하고)을 가지기가 어렵다.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무형의 재화인 시간과 맞바꾸기 때문이다. 일을 하며 월급을 받고 돈을 모아 어떻게 쓸 것인지 고민하고 행복한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시간과 맞바꾸는 일은 자기만의 공간을 누릴 수 있는 여유가 줄어드는 아이러니가 되어 버렸다. 이제는 자기만의 공간이 집에 국한되지 않는다. 혼자있는 장소가 아니더라도 본인이 즐기고 있는 곳, 여러가지 취미를 즐기는 곳이라면 그곳이 자기만의 방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