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 하 열린책들 세계문학 81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미의 이름 (하)

움베르토 에코 (지음) |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펴냄)

더듬더듬 기억을 떠올려보면 <장미의 이름>은 처음 출판되었을때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꽤 인기가 있었던 책으로 기억된다.

표지의 그림은 같은 컨셉을 유지하며 매번 개정되면서도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장미의 이름>. 첫 개역판이 1992년에 나왔으니 내가 장미의 이름을 처음 읽었던 때도 그 무렵 이었을거다. 지금과 달리 그때는 책을 읽는 것에만 의미를 두고 따로 기록을 남기거나 메모하지 않아서 기억나는 것이라고는 연쇄 살인의 범인과 살인의 이유 그 두가지 뿐이었다. 추리소설로만 <장미의 이름>을 읽는다면 재독을 의미없게 만드는 맥빠지는 기억일 수도 있다. 하지만 <장미의 이름>은 추리소설로만 읽기에는 그 안에 담긴 종교적인 철학과 세계관이 남다르다. 아마도 움베르토 에코만이 그려내는 분위기 때문이지 아닐까.

영화든 소설이든 결말을 알고 보는 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역시 이번 재독에서도 "누가 그랬을까?" 보다 "왜 그랬을까?"를 더 꼼꼼하게 보게 되었다. 무심한 듯 건네는 대사 한 줄과 상황설명은 결말부분에 이르러서야 감탄하게 만드는 용의주도한 복선들이다.

그 어느 곳보다 신성해야하고 경건해야할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연쇄적인 죽음. 셜록홈즈와 왓슨을 연상하게 만드는 윌리엄 수도사와 아드소의 케미가 양념처럼 버무려져 살인 사건을 추리해 나가는 큰 줄기를 가지고 있지만 수도원 안에서 벌어지는 힘겨루기와 부정들을 통해 종교와 신앙, 종교인의 자질에 대한 비판을 움베르토 에코만의 방식으로 풀어놓는다.

연이은 불가사의한 죽음을 요한의 묵시록과 연결지어 종교적인 예언으로 흐르는 듯 싶다가 여러 가설들을 세워 결국 사건 해결에 한 걸음씩 다가선다.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수도사와 수도원의 비리와 부패는 종교가 가지는 순기능과 종교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보게 한다. 지금의 종교는 어떠한지, 종교인들은 어떠한지.

이유를 알 수 없던 수도사들의 죽음은 어떤 물건을 손에 넣으려는 사람과 그것을 막으려는 사람 사이에서 벌어진 갈등의 산물이었다. 결국 장서관의 비밀을 알게 된 사람은 모두 죽게되는 결말을 맞는다.

장서관의 비밀. 한 개인의 종교적인 신념을 옳다 그르다 판단할 수는 없지만 형제라 부르던 사람들의 목숨을 앗을만큼 꼭 지켜야만 하는 중요한 비밀이었나. 충동적, 우발적 살인이 아닌 오랜시간 계획해 온 살의에 더 소름이 끼친다. 자신이 옳다고 느끼는 일에는 살인마저 정당화 될 수 있는 일인지, 잘못된 신념과 믿음은 그 자체로도 흉기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그것이 꼭 종교에 국한된 것이 아니더라도 말이다. 나만이 옳다고 여기는 자만은 어디서 오는걸까? 대선을 하루 앞둔 오늘, <장미의 이름>과 티비로 보는 선거 운동에서 묘하게 비슷한 공통점이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