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여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색 여인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펴냄)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시즌1>의 5권의 도서 중 두 번째로 선택해서 읽은 책은 "회색 여인"이다.

수록된 세 편의 소설 중 첫 번째 단편인 "회색 여인"의 여운이 개인적으론 가장 크다. 함께 읽은 인친들은 두 번째 이야기인 "마녀 로이스"가 더 심금을 울렸다고 하던데 아마도 마녀사냥이라는 소재 자체가 역사적인 사실에 근거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공포 소설의 묘미는 무엇보다도 공포 그 자체일 것이다. 기이한 일이나 유령에 얽힌 미스터리한 일들이 탄탄한 스토리 위에 얹어진다면 섬뜩한 공포심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이번 "회색 여인"을 읽으면서 느끼는 공포는 여느 공포와는 달랐다. 주인공들이 느끼는 공포에 공감하면서 그 공포심이 내게로 전달되고 그래서 연민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회색 여인>에서 아나는 순진하고 착해보이는 외모의 남자 투렐에게서 받은 선물과 청혼을 적극적으로 거절하지 못했다. 대지주라는 경제적인 탄탄함과 주위에서 부추기는 분위기에 휩쓸려 인생의 중요한 결정인 결혼이라는 중대사에서 적극적인 의사표현을 하지 않은 대가를 톡톡히 치른다. 현시대의 많은 사람들도 그저 결혼적령기라는 이유와 주변 분위기에 휩쓸려 상대에 대해 잘 알아가는 시간을 생략한채 섣부른 결혼을 감행하고 있지 않을까.

<마녀 로이스>는 단지 소설 속 허구만이 아니라는 점이 더 공포스럽다. 마녀라는 손가락질 한 번에 생과 사가 달라져 버리는 상황. 평소 미워하던 누군가를, 사랑의 연적을, 집안의 원수를 이보다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명분이 어디에 또 있었을까. 우리의 역사 속에 반역이라는 밀고 하나면 3대 멸문지화를 입던 그 공포와 비슷하다. 어떠한 변명도 통하지 않는 죽음으로 이르는 종말. 그 극한의 공포.

여자의 적은 여자라는 말이 있다.

<회색 여인>의 아나에게는 올케인 바베테가 <마녀 로이스>에서는 숙모인 그레이스와 사촌인 페이스, 프루던스가 로이스에게 그랬다. <늙은 보모 이야기>에서는 한 남자를 사랑하게 된 자매, 퍼니벌과 그레이스가 서로에게 적이었다. 하지만 적에게 내쳐진 그녀들에게 치유가 되는 과정에서 동지가 되는 이들 또한 여성이었다. 아나에겐 아망테가 남자보다 더 헌신적으로 그녀를 지켜내었고 로이스는 죽음을 목전에 둔 극한의 공포 앞에서 네이티의 죽음을 위로한다. 자매들의 질투와 시기 속에 죽었던 어린 생명은 로저먼드를 통해 그 아픔을 위로 받는다.

여자의 적은 여자가 아니라, 사람의 적은 사람들 마음 속에 자리 잡은 공포가 아닐까. 내 것을 빼앗길지 모른다는 공포, 사랑받지 못할 거라는 공포, 용서받지 못할 것이라는 공포.

근래에 읽은 공포 소설 중 단연코 수작이라 손꼽고 싶다. 엘리자베스 개스켈이 어릴 적 너무나 재미있게 보았던 BBC드라마 "남과 북"의 저자라는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이 참에 그녀의 다른 소설도 모두 섭렵해보고 싶은 욕심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