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에게 너무 가혹한 당신에게 - 내 몫이 아닌 비합리적 죄책감과 이별하기
일자 샌드 지음, 정지현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에게 너무 가혹한 당신에게

일자 샌드 (지음) | 정지현 (옮김) | 타인의사유 (펴냄)

불필요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당신에게 필요한 심리학 수업

<자신에게 너무 가혹한 당신에게> 표지글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도를 넘는 반성이 자기 비하로 이어지는 사람도 있고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화를 참지 못하고 타인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자해로 이어지는 사람들이 있다. 자기 비난을 겸손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의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죄책감은 자신이 행했거나 행하지 않은 행동들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다. 하지만 "우리"라는 공동 연대의식의 문화가 깊은 우리에게는 타인의 잘못도 함께 죄책감을 느끼는 묘한 분위기가 있다. 위로와 응원이면 충분한 문제에도 내 몫이 아닌 죄책감까지 끌어안고 괴로워하는 경우가 있다. 반면 본인의 책임이 분명한데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남탓을 하거나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되려 더 큰소리를 치고 분노를 표출하는 이들도 있다. 분노라는 감정은 분명히 표출되어야 하는 인간의 정상적인 감정이지만 잘못된 방법과 방향은 분노조절장애와 자기 비판이 되기 쉽다.

생각해보면 그리 오래되지 않은 과거의 나는 내 잘못이 아니었거나 내가 어찌해 볼 수 없는 불가항력의 상황조차도 내 탓으로 돌려 죄책감과 자기 비난을 해왔다. 그러면서 자존감은 낮아지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벗어나기 힘든 악순환을 해왔던 것 같다. 이런 나의 감정, 죄책감을 이용한 가스라이팅은 기대서는 안될 사람에게 기대고 의지하게 되는 또 하나의 악순환의 고리를 만들었다.

죄책감과 수치심은 자칫 혼동하기 쉽지만 전혀 다르다. 죄책감은 행동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고 수치심은 부끄럽거나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감정이다. 유대인 학살과 세계대전의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사죄하는 독일이 죄책감의 문화라면, 그런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잘못을 들키지 않으려 발버둥치는 일본의 문화는 수치심의 문화라 할 수 있다. 죄책감은 잘못이 있는 사람이 느끼는 것이 아니라 양심이 있는 자의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사람들은 스스로를 피해자로 둔갑시키기도 한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필요이상의 죄책감을 느끼게 만들어 자신은 책임과 죄책감에서 벗어난다. 피해자의 얼굴을 하고 이루어지는 가스라이팅은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을 상대로 하면 생각만해도 끔찍만 뫼비우스의 띠가 되고 만다. 아마도 가장 흔한 케이스가 부모자식간에 이루어지는 가스라이팅이 아닐까?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 "나한테 해준게 뭐가 있는데..." 은근 슬쩍 피해자, 약자로 자신을 둔갑시키고 상대에게 죄책감을 씌우고 마는.

느껴야할 내 몫의 죄책감마저 내려놓으란 얘기가 아니다. 내 몫이 아닌 죄책감,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불가항력의 비합리적 죄책감으로 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말이다. 긍정적인 삶의 원칙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한계를 알고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집착을 내려놓고 자신에게 조금 더 친절하게 대할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