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 눈뜨는 한 사람
김필통 지음 / 하모니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 눈뜨는 한 사람

 

김필통 (지음) | 하모니북 (펴냄)

 

 

 

 

 

 

 

사람들은 자기 주변의 이야기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이해하며, 함께하기 위한 노력을 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거나 물리적으로 혹은 심적으로 먼 곳의 이야기라 치부하며 본인의 일이 아니면 두 눈 꼭 감고 나와는 상관없는 일, 내게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며 마음에 담장을 쌓고 살아가는 이들도 있다.

 

매번 본방송을 챙겨보긴 어렵지만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해서라도 보게 되는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다. 내게는 일어나지 않은 일이지만 누군가는 겪었을 일들, 그러한 일들에 눈 감고 모른체 했을 때 과연 끝까지 '남의 일'로만 남게 될까?

 

 

 

<세계에 눈뜨는 한 사람>에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된 이야기는 <모가디슈>다.

 

영화 제목이기도 한 <모가디슈>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에서 보고 알게 되었다. 물론 이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은 각자의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먼 나라의 얘기라고 해서 항상 남의 얘기일 수는 없다는 점이다.

 

이 곳에서의 나비 날개짓 한 번이 지구 반대편에서 태풍이 될 수도 있다는 나비 효과의 이론처럼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많은 일들은 어떤 식으로든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일본의 원전 사고가 우리의 밥상에 위협이 되고 중국의 공장 굴뚝이 우리에게 호흡기 질환으로 다가온다. 한 푼 한 푼 이곳에서의 작은 정성이 먼 나라 아이들의 학교가 되고 깨끗한 물이 된다. '지구촌'이라는 말은 생각보다 가까이 생활 깊숙히 들어와 있다.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각기 다른 장소에서라도 고민해봐야할 문제들이 세계 곳곳에 넘쳐난다. 답을 찾을 수 없을지라도 답을 찾는 과정에서 뜻밖의 의미를 얻을 수도 있고, 원했던 답은 아니지만 또 다른 답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대가 변했지만 장소만 달라졌을뿐 고통을 겪는 사람들은 여전히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 어느 한 쪽에서는 다이어트를 위해 굶고, 지구 반대편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 굶는다. 전쟁과 가난, 범죄와 팬데믹의 공포와 고통이 반복되고 있다. 종교와 인권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아이러니한 폭력의 역사도 있어왔다.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역사의 아이러니도 역시 존재해왔다.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문제들이나 듣고서도 무심코 넘겨왔던 현상들을 관련 영화와 연결하여 설명하니 이해도 쉽고 재미도 있었다. 한 가지 문제에 대해 깊이 파고들진 않지만 제목처럼 세계에 눈뜨기 좋을 주제들이 담겨 있다. 중학생인 아들에게 읽혀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식을 얻기 위해 읽는 시사 상식, 역사책들과 달리 조금 더 가깝게 주변의 이야기로 읽혔다. 내 아이는 나보다 좀 더 빨리 세계에 눈뜨는 한 사람이 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