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쾌,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 (옮김) | 비채 (펴냄)

세계 여러 나라 크고 작은 도시마다 유명한 도시 괴담, 도시 전설 한 두가지는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자유로 귀신이라던지 홍콩 할매 귀신, 일본의 빨간 마스크의 여인의 괴담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퍼진다.

그 중 어떤 것들은 이성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불가사의한 일들이 괴담이 되기도 하고 또 어떤 것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고 부풀려져 끈질기게 살아남는다.

타이완, 일본, 홍콩 3국의 다섯 작가의 다섯개의 단편. 그저 단순히 젓가락이라는 공통된 소재를 가진 각기 다른 이야기들일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다른 작가들이 썼다고 하기에는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긴밀하게 이어져 있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는 작가 후기까지 읽고 나서야 이해가 되었다. 바로 릴레이 집필!

한 작가가 쓰고 난 원고를 다음 작가가 받아서 읽어보고 이어가는 방식이었다. 한 사람이 썼다면 자칫 떨어졌을지도 모를 긴장감이 여러 작가의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여러 색깔과 개성을 가진 이야기가 되었다. 다른 작가의 이야기를 이렇게 멋지게 이어 새로운 이야기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같은 문화와 죽은 자를 위한 밥에 수저를 꽂는 비슷한 의식들이 소설을 더 몰입하며 읽게 만들었다. 저주와 행운은 어쩌면 한 끗차이일 수 있다. 눈에 보인다고 해서 다 진실이 아니듯이 보이지 않는 것이라 해서 다 거짓이라 몰아 붙일 수는 없다.

젓가락이라는 일상의 흔한 소재와 한 두 번쯤 들어보았을 익숙한 괴담이 뒤편의 이야기로 넘어갈수록 스케일은 커지고 앞선 단편들과 긴밀해지면서 흥미로움은 커져갔다.

악의를 품지 않았더라도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그것은 용서를 해야할까? 물론 진심어린 사과와 참회가 뒤따라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겠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상처를 받았다면 몇마디 사과의 말로 애초에 없었던 일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랜 세월이 흘러 친구를 찾아 사과한 '산호뼈'의 주인공과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의 리나는 반성과 참회로 마음의 짐을 덜었을까? 짐을 덜기 위한 참회를 진정성있게 받아들여야 할까?

주술은 규칙을 통해 금기가 생기고 금기가 깨지면 저주가 된다.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 인간의 손을 벗어나 괴물이 되고 인간의 삶을 파괴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진짜 괴물은 인간이 만들어낸 주술이 되는 걸까, 그 주술을 만들어낸 인간이 되는 걸까? 어쩌면 지금도 새로운 주술과 금기가 어디선가 만들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온을 먹고 살았다는 젓가락님처럼 인간의 비뚤어진 탐욕과 윈망, 복수심들을 먹고 살아가는 또 다른 어둠의 존재를 만들어내고 키워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