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다시 계몽 - 이성, 과학, 휴머니즘, 그리고 진보를 말하다 사이언스 클래식 37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다시 계몽

스티븐 핑거 (지음) | 김한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펴냄)

한 장 한 장 읽을수록 몰입하며 읽게 되었다.

"지식수준이 낮거나 인습에 젖은 사람을 가르쳐서 깨우침"이라는 계몽의 사전적 의미에 걸맞게 나를 무지로부터 한 단계 끌어올린다.

처음 대면했을때 두께에서 압도당한 중압감은 쉽게 씌여진 친절함에 얼마가지않아 사라졌다. <계몽, 진보, 이성 과학 휴머니즘>의 3부로 나누어 각 주제에 계몽이 어떻게 관련되었는지 파헤치며 사회 모든 분야와의 연결점을 보여준다.

계몽이라고 하면 무지로부터의 탈출, 무지로 인한 공포로부터의 탈출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먼저 알고 많이 아는 것을 대단한 권리라도 되는 듯이 폭력을 앞세워 행해졌던 식민지의 계몽 정책은 어두운 일면이기도 하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우리네 속담이 무색하게도 일부 지식인들은 타성에 젖어 변화하지 않으려하고 제말만 옳다고 한다. 그 누구보다 진보적이어야 할 지식인들이 진보를 싫어하고 그러면서도 진보의 결실은 싫어하지 않는다는 저자의 논리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다. 어쩌면 조목조목 이리도 맞는 말씀만 하시는지.

사람들은 진보하기를 원하고 사회는 진보되고 있다. 개개인은 자신들의 삶을 낙관적으로 그리면서 사회에 대해서는 비관적으로 관망한다. 매일의 일상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에는 무감각하면서 어쩌다 일어나는 비관적인 뉴스에 왜곡된 세계관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2부에서 다루고 있는 "진보공포증, 생명, 건강, 식량, 부, 불평등, 환경, 평화, 안전, 테러리즘, 민주주의, 평등권, 지식, 삶의 질, 행복, 실존적 위협, 진보의 미래"는 얼핏 계몽과 직접적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지식이 이 모든 주제들의 근간이라는 점을 본다면 계몽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 주제들에서 미처 알지 못했던 것들과 알고는 있었지만 근거는 몰랐던 것들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그 중에서도 유난히 불평등에 대한 챕터가 눈길을 사로잡았다. 172. 세계적으로 불평등이 감소하고 있다. 이것은 진보하고 있다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말이기도 하다. 여기서 말하는 불평등의 감소는 빈곤의 감소를 뜻하며, 최상위층의 부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목표는 최상위층을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최하위층을 끌어올린다는 것이다.

157.나라가 부유해질수록 국민은 더 행복해지고, 나라가 부유해질수록 국민이 더 똑똑해진다. 돈이 전부가 아니라고 하지만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닌 현실이다. 계몽과 진보를 위해서도 돈이 드는 현실에 기대수명마저도 부유 국가가 더 높다.

1부에서 계몽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며 문을 열었다면 2부에서는 조목조목 그 유효성에 대해 친절한 열변을 토한다. 3부에서는 반계몽으로부터 계몽을 변호하며 옹호한다. 계몽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으랴싶지만 각자의 사상과 철학은 주관적이며 항상 이성적인 것만도 아니다.

한 발씩 나아가는 진보와 행복은 퇴보와 불행보다 분명 많은 사람들이 바라고 목표하는 것이다.

진보를 위한 계몽, 행복을 위한 계몽. 계몽을 옹호하는 저자의 주장에 깊은 동감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