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으로 읽는 세계사 - 10가지 빵 속에 담긴 인류 역사 이야기
이영숙 지음 / 스몰빅인사이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빵으로 읽는 세계사

이영숙 (지음) | 스몰빅인사이트 (펴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10가지 빵에 관한 이야기

머릿말에서

밥을 주식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문화권에서도 이제 빵은 밥을 대용하는 주요한 먹거리로 자리잡고 있다.

햄버거, 샌드위치, 토스트, 피자 그리고 그 밖의 수많은 이름의 빵들은 우리의 일상에 간식과 식사 대용으로 깊숙하고도 친근하게 들어왔다. 이토록 자주 그리고 쉽게 접하는 빵으로 읽는 세계사라니 읽기 전부터 흥미로웠다. 세계사라고 하면 피비린내 나는 전쟁사가 주류를 이루는데 빵으로 만나는 세계사라니 세계사가 좀더 편하고 쉽게 느껴진다. 빵도 좋아하고 세계사도 좋아하는 내게 안성맞춤인 책이라고나 할까? 고소하고 달콤한 빵 냄새가 코끝을 스치는 듯하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10가지 빵인 플랫브레드, 샤워도우, 피자, 마카롱, 에그타르트, 카스텔라, 판데살, 토르티야, 베이글, 흑빵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여러가지 빵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빵은 "플랫 브레드"다. 오랜 역사를 가진 만큼 다른 첨가물 없이 오로지 밀가루 반죽에만 의지한 가장 기본적인 빵이다. 발효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빵도 있다. 가끔 티비에서 보던 여행 다큐멘터리에 자주 등장하는 "난"은 대표적인 플랫브레드다.

우연히 일어나게 된 발효는 빵의 풍미를 놀랄만큼 바꾸어놓았고 이후로는 발효가 필수과정이 되지 않았을까? 빵굼터의 유적지에서 양조장의 흔적이 함께 발견되는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로마는 불만을 가진 농민들이 봉기를 일으킬까 두려워 '빵과 서커스'로 불만을 잠재웠다. 과거 우리나라의 3S(스크린, 섹스, 스포츠)정책과 유사한 모습이다. 이탈리아의 빵이라 알고있는 피자는 지금의 피자와는 다른 모습이다. 지금의 피자는 미국에 정착한 이탈리아 이민자들에 의해 현지화되어 상품화된 것이라고 하니 이 역시도 중국에서는 우리가 아는 짜장면을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마카롱도 원조는 이탈리아였으나 카트린이 프랑스로 시집갈 때 함께 간 요리사들에 의해 프랑스에 전파되었다. 에그타르트의 유래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바 없이 추측만을 할 뿐이다.

포루투칼 선교사에 의해 일본에 전파된 카스텔라는 일본인들이 자기식으로 변형시켜 받아들였다. 자국의 식재료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제주도에서는 제사상에 떡 대신 카스텔라를 올린다는 것을 티비 프로그램에서도 본 적이 있다. 설마했었는데 책 속 본문에서 이 얘기를 보니 거듭 신기할 따름이다. 귀하게 여겨서 올린것이라 생각하면 이상한 일도 아니지만 말이다.

필리핀의 국민 빵이라 불리는 판데살은 처음 듣는 낯선 이름이다. 그런데 이 국민빵이 스페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한다. 식민지의 아픔이 음식에 남은 것이다.

베이글은 유대인의 코셔 율법을 엄격히 지키는 빵으로 탄생했지만 지금은 뉴욕의 상징이 되었다. 그만큼 미국이란 사회에 빠르게 적응해야 했던 유대인의 역사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제 2차 세계 대전의 아픔을 떠올리게 하는 흑빵까지 빵으로 읽는 세계사는 파란만장하다. 앞으로는 빵 한 조각을 먹더라도 한번쯤은 빵의 역사도 떠올려보게 될 것 같다.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