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0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펴냄)

수녀원에서 생활하던 에마는 연애소설을 접하게 된 뒤로 사랑에 대한 낭만적 환상을 키워온다. 집에 돌아와서도 무료한 생활에 권태를 느끼던 그녀는 왕진 온 샤를 보바리와 결혼하며 행복감을 느끼지만 낭만과 거리가 멀었던 샤를에게서 꿈꿔왔던 환상이 채워지지 않자 우울증에 빠져든다. 그녀가 원했뎐 건 사랑 그 자체가 아니라 사랑에 대한 낭만적인 환상이었던 것 같다. 그런 그녀를 안았던 남자들 또한 그녀를 진정으로 사랑해주진 않았다. 한때의 쾌락과 금기가 주는 전율로 그들도 일상의 권태를 벗어나고 싶었을 뿐이었는지 모르겠다.

남편이 아닌 다른 남자들과 만나면서 조금의 주저함이나 가책이 없다.

여성으로서의 제약된 삶이 아닌 남자의 자유를 자식에게서 대리만족이라도 하고 싶었던 것인지, 아들을 낳고 싶었던 에마는 바램과 달리 아들을 낳지 못했다. 그래서 였을까? 딸 베르트에 대한 모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녀가 원했던 사랑은 표현하고 드러내는 사랑이었다. 그런 사랑이 남편인 샤를에게서 채워졌었다면 에마는 그토록 사랑에 목마른 여인이 되었을까. 그러나 현실의 의무와 책임을 접어둔채 사랑에만 집착한 그녀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사랑의 도피를 하고 싶었던 애마와 달리 그럴 마음이 없었던 로돌프에게 버림받고 아파한 것도 잠시, 재회하게 된 레옹으로 갈아타는 그녀. 모성이라는 가장 숭고하고도 기본적인 사랑을 져버린 그녀를 어찌 가엾게 여겨줄까.

에마의 남편인 샤를 보바리. 그는 바람난 아내를 둔 불쌍한 피해자이기만 할까?

어려서는 지나치게 검소한 아버지 덕에 학교도 늦은 나이에 갔고, 의사가 된 것도 본인의 뜻은 아니었다. 나이 많은 과부와 재산 때문에 하게 된 첫 결혼에서도 그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어보지 못했다.

에마와의 결혼 생활에서도 그녀의 내면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면 그런 비극은 피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소통없는 사랑은 비극이 될 수도 있다는 걸 그를 통해 본다.

감당할 수 없는 빚과 그 동안의 사랑들이 모두 거짓임을 알게 된 에마는 스스로 삶을 버린다. 그녀는 마지막 가는 길마저도 철저하게 이기적이다. 아버지와 남편 샤를, 딸 베르트 중 자신의 실패한 사랑보다 값진 것은 없었나보다.

타인의 불행과 약점을 자신들의 기회로만 잡으려는 사람들은 그녀의 죽음마저도 자신들의 이익을 앞세운다. 인간의 비정함.

'대중적이고 종교적인 도덕과 미풍양속에 대한 위반'이라는 죄목으로 법정에 섰었다는 소설 <마담 보바리>. 미풍양속을 해친 작품이어서가 아니라 오히려 당대의 모습을 가감없이 드러낸 작품이었기에 더 치욕스럽고 아팠던 건 아닐까.

그 논란은 고전이라는 이름이 아니었다면 현재에도 그리 자유로워보이지는 않는다. 표현의 자유는 있어야 하지만 문학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무조건 에마를 비난하기는 쉽지 않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