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엽 감는 새 연대기 3 - 새 잡이 사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 잡이 사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 김난주 (옮김) | 민음사 (펴냄)

3권의 세트 도서로 시선을 사로잡는 디자인의 <태엽감는 새 연대기>.

일시적 인기나 붐으로 잠시 읽히다 사라지는 게 아니라 20년 동안 꾸준하게 읽히며 사랑받아 온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1권 도둑까치, 2권 예언하는 새를 지나 3권 새 잡이 사내에 이르기까지 시간과 장소, 시대적 배경을 넘나들면서 전개되는 스토리는 등장 인물들 간의 연관성을 쉽게 찾기 힘들어 도대체 무라카미 하루키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언지 맥을 짚어내기가 힘들었다. 깨어있는 의식의 작가라는 그의 명성에 기대어 생각을 해보면서, 언급되는 노몬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해해 보려하면 사라진 구미코와 사라졌다가 돌아온 고양이, 도오루가 우물을 통해 꿈과 현실의 경계없는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등의 설정이 쉽게 이해되지 않으면서도 분명히 연관 있으리라는 느낌에 각 사건과 등장인물들을 연결해 보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도오루의 주변에 등장하는 여자들.

처음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여자의 전화를 시작으로 이웃집 소녀 가사하라 메이, 가노 마르타와 가노 크레타 그리고 본명 대신 넛메이라 불리는 여인까지, 도오루와 얽히며 미스터리는 계속된다. 그리고 미야와키 빈집(일명 목매다는 집)의 말라버린 우물과 도오루의 얼굴에 생겨난 푸른 멍은 세계 대전의 어두운 과거로의 시간까지 더듬으면서 현재로 이어진다.

주변의 다른 집들과는 다르게 유독 목매다는 집의 우물만이 말라버렸던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물이 나오지 않는 집. 그 집의 우물에서 얻은 푸른 멍은 도오루를 넛메이에게 인도하고 우물에 물이 차오르자 멍도 사라진다. 개인의 신비한 체험으로만 이해하기에는 '태엽감는 새 연대기'의 이야기는 방대하고도 방대하다.

폭력. 무라카미 하루키는 폭력의 역사에 대해 말하고 싶었을까?

세계대전. 총탄이 빗발치는 그 참혹한 전쟁터의 현장 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나들이와 가족 소풍의 장소로 이용하는 동물원도 피해갈 수 없었던 죽음. 어느날은 피해자였다가 다음날은 가해자가 되는 전쟁.

오빠인 와타야 노보루를 죽여야만 한다는 아내 구미코의 마지막 편지에는 조종당해왔던 과거를 끝내 벗어나지 못했던 소리없는 비명이 담겨있다.

가족에 의한 가스라이팅. 그것도 폭력일테니 말이다.

현실에서의 멍은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넛메이의 아버지의 얼굴에 있던 것은 파란 반점이었던 것과 달리 도오루의 것은 파란 멍이라고만 표현되었던 것은 사건의 해결을 암시하기라도 했던 것일까.

미스터리 소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넘쳐나는 비밀과 의혹들은 어려워도 책을 놓을 수 없는 매력이 충분했다.

조금의 내공을 더 쌓은 후에 반드시 재독하리라는 다짐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