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 을유세계문학전집 109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 진인혜 (옮김) | 을유문화사 (펴냄)

수녀원에서 생활하던 에마는 연애소설을 접하게 된 뒤로 사랑에 대한 낭만적 환상을 키워온다. 집에 돌아와서도 무료한 생활에 권태를 느끼던 그녀는 왕진 온 샤를 보바리와 결혼하며 행복감을 느끼지만 낭만과 거리가 멀었던 샤를에게서 꿈꿔왔던 환상이 채워지지 않자 후작의 무도회를 그리워하며 우울증에 빠져든다. 그녀가 원했뎐 건 사랑 그 자체가 아니라 사랑에 대한 낭만적인 환상이었던 것 같다. 그런 그녀를 안았던 남자들 또한 그녀를 진정으로 사랑해주진 않았다. 한때의 쾌락과 금기가 주는 전율로 그들도 일상의 권태를 벗어나고 싶었을 뿐이었는지 모르겠다.

남편이 아닌 다른 남자들과 만나면서 조금의 주저함이나 가책이 없이 더구나 딸에 대한 모성까지 전혀 드러내지 않는 에마를 보며 톨스토이의 '안나카레니나'에서의 안나와는 또 다른 모습을 보았다. 안나는 아이에 대한 모성은 놓지 않았고, 최소한 양심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줬었는데, 에마는 로돌프와 만나면서 "내게 애인이 생겼어!애인이!"라며 즐거워한다.

사랑의 도피를 하고 싶었던 애마와 달리 그럴 마음이 없었던 로돌프에게 버림받고 아파한 것도 잠시, 재회하게 된 레옹으로 갈아타는 그녀에게서 연민을 느끼기는 어렵다.모성이라는 가장 숭고하고도 기본적인 사랑을 져버린 그녀를 어찌 가엾게 여겨줄까.

에마의 남편인 샤를 보바리. 그는 바람난 아내를 둔 불쌍한 피해자이기만 할까?

어려서는 지나치게 검소한 아버지 덕에 학교도 늦은 나이에 갔고, 의사가 된 것도 본인의 뜻은 아니었다. 나이 많은 과부에게 재산 때문에 하게 된 첫 결혼에서도 그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어보지 못했다.

에마와의 결혼 생활에도 그녀에게 무조건 관용적이기만 했던 사랑보다는 내면을 보려는 의지가 있었다면 그런 비극은 피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소통없는 사랑은 비극이 될 수도 있다는 걸 그를 통해 본다.

감당할 수 없는 빚과 그 동안의 사랑들이 모두 거짓임을 알게 된 에마는 음독자살을 한다. 그녀는 마지막 가는 길마저도 철저하게 이기적이다. 아버지 루오 노인과 남편 샤를, 딸 베르트 중 자신의 실패한 사랑보다 값진 것은 없었나보다.

타인의 불행과 약점을 자신들의 기회로만 잡으려는 사람들은 그녀의 죽음마저도 자신들의 이익을 앞세운다. 인간의 비정함이란...

'대중적이고 종교적인 도덕과 미풍양속에 대한 위반'이라는 죄목으로 법정에 섰었다는 소설 <마담 보바리>. 미풍양속을 해친 작품이어서가 아니라 오히려 당대의 모습을 가감없이 드러낸 작품이었기에 더 치욕스럽고 아팠던 건 아닐까.

그 논란은 고전이라는 이름이 아니었다면 현재에도 그리 자유로워보이지는 않는다. 표현의 자유는 있어야 하지만 문학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무조건 에마를 비난하기는 쉽지 않을 듯 하다.

*위 도서를 소개하면서 출판사 을유문화사로부터 무료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