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 매일 읽는 철학 1
예저우 지음, 정호운 옮김 / 오렌지연필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니체,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 
예저우 (지음) | 정호운 (옮김) | 오렌지연필 (펴냄)​


《13.니체는 인간의 심리 활동을 언급하면서 이성의 힘이 사실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고 말한다.》

모든 신경과 정신을 어떤 문제에 쏟아부으면 때로는 깊이 각인된 잠재의식이 자신의 역할을 발휘해 순간적인 깨달음을 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런 잠재의식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본성일까, 환경의 영향일까? 철학이외의 분야에서도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는 문제이다. 인간은 틀림없이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환경 또한 인간이 만든 것이라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환경에 굴복하거나 지배당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인간과 환경은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인 것이다.

​'어디'와 '무엇'보다는 '어떻게'에 집중하는 요즘말로 결과보다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놓치기 쉬운 것들에 짚어본다.

​'창의성'하면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스티브 잡스. 잡스에게 가장 큰 재산이자 성공의 자산은 누구나 인정하듯이 창의력일 것이다. 상상력을 창의력을 통해 실체화 한다면 얼마나 멋진 일일까? 새로움을 추구하는 데 있어 과거의 모든 것을 부정하고 버리라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가진 것을 통합하는 능력과 인생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시련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유연성을 겸비한다면 한 번의 실패가 영원한 좌절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최선을 다해 감당해 보지만 여의치 않을 때는 살짝 굽히는 감정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고난을 맞으며 필요한 자신감,용기,희망은 인내와 끈기라는 기본기를 가지고 남의 평가에 휘둘리기 보다는 자신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

《117. 영웅도 겁쟁이와 마찬가지로 두려움을 느낀다. 다만 두려움에 대한 반응이 다를 뿐이다.》

실수를 인정하는 것은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 아니다. 실수를 인정하지 못하고 발뺌하거나 타인에게 떠넘기는 몰염치는 개인의 지식과 무관한 비매너와 몰상식, 품격과 지성의 낮음을 되려 인정하는 꼴이다.



사람의 가본적인 욕구 중에 '인정의 욕구'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게 되면 참된 사랑이 가능하다고 니체는 말한다.
시간이 흐르며 변하는 것은 상대방이 아닌  상대방을 사랑하는 자신의 마음이라는 것이다. 사랑은 어느 한 쪽의 희생 위에 서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두 사람이 함께 즐겁고 함께 행복해야 하는 것이 진짜 사랑이 아닐까? 한 쪽의 희생위에서 남은 한 쪽이 행복하다면 그 감정을 진정한 사랑이라고 할 수 없을 테니 말이다.


이 책 <니체,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에서 7가지 Chapter로 니체가 말하는 심성, 사고, 고난, 진실한 감정, 사회생활, 품격, 일하는 법은 너무 당연한 기본에 관해 말하고 있지만 이 기본적인 것들이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이런 철학을 끊임없이 찾게 되는 이유일 것이다. 
자칫 시시해 보일 수도 있는 기본 중의 기본! 어쩌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것들이 그만큼 지키기 어럽거나 지켜지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 아닐까 한다.


※위 도서를 소개하면서 출판사 오렌지연필로부터 무료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