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에 대한 노트 ㅣ 채석장 시리즈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알렉산더 클루게 저자, 김수환.유운성 역자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3월
평점 :
자본에 대한 노트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알렉산더 클루게 (지음) | 김수환, 유운성 (옮김) | 문학과지성사 (펴냄)
<자본에 대한 노트>는 아이젠슈타인이 '마르크스의 자본'을 시나리오 삼아 영화화 하려던 계획을 알렉산더 클루게가 상상의 채석장이라 부른데서 비롯된 채석장 시리즈의 첫번째 책이다. 1927년에 처음 구상되어 1929년에 정점에 달했던 한 편의 영화에 대한 계획은 끝내 실현되지 못한 채로 남았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사회주의의 과학적 토대를 마련한 경제학 저서로 평가되고 있다. 이 책을 영화화하려는 시도의 발상 자체가 놀랍다. '알쓸신잡'이라는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유시민의 폭넓은 해박함이 부러웠는데 <자본에 대한 노트>를 읽으며 새삼 나의 앎에 대해 또 한번 부족함을 느꼈다. 영화에 대한 지식이 없는 걸까,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관한 지식이 없는 걸까?
영화로 구체화 시키기 위한 장면의 디테일한 묘사에 대한 아이젠슈타인의 메모들. 프로페셔널한 모습이다. 영화의 기교뿐만이 아니라 정치와 역사,이념과 사상에 이어지는 경계없는 지식은 영화라는 종합예술로 탄생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영화의 언어와 문학의 언어는 다르기에 표현의 방식도 달라야 할 것이다. 문학은 개인의 상상력이라는 제약없는 무대가 주어지지만 영화는 개개인의 상상과 관념을 시각화 해야 한다는 엄청난 제약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더 많은 디테일과 더 많은 표현의 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자본이라는 무형의 이념과 가치를 어떻게 표현하려고 했을까? 아이젠슈타인은 자본주의의 어두운 이면에 집중한 듯 보인다.
《p32. 1927년 11월 4일 저녁
미국에서는 묘지도 개인이 소유한다. 모든 것은 100퍼센트 경쟁이다. 죽어가는 사람은 전단을 받는다. "오직 우리를 통해서만 당신은 나무 그늘과 시냇물의 속삭임 속에서 영원한 안식을 찾을 수 있게 될 겁니다"
(영화 <자본>을 위한 것)
39. 방직기계의 테마와 기계를 파괴하는 방직공의 테마처럼 충돌시켜 보여주어야 한다.
71. 버려진 아이를 위한 우체통. 아테네의 한 고아원 근방 거리에 엄마들이 아기를 넣어둘 수 있는 상자가 설치되었다.》
산업혁명의 인클로저 운동이 연상되고, 죽음 이후의 휴식도 자본에 좌우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지만 이미 현실이 되어버린 과거가 되었다.
'돈에 바친 인생은 결코 공정한 거래가 될 수 없는 것'이라고 경제 구조의 어두운 단면의 예로 파산한 회사의 병든 노동자를 예로 들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재화를 얻기위해 지불하는 것은 시간일까, 사람일까?
역위의 태아를 돌리기 위해 조산사는 '폭력'을 가해야 하지만 힘으로만 잡아 돌리지는 않는다. 태아의 힘을 이용한 보조나 방향의 전환처럼, 사회 경제의 흐름도 강제적인 간섭은 폭력과 같은 파괴의 힘이 될 수도 있다. 자본에 대한 다른 견해는 정치와 사상,경제 체제의 다름을 낳으며 전쟁으로 치닫는 역사를 낳기도 했다.
《129.생산물은 손끝 자체이고 '손쉬움'인거죠. 그런 기기가 세상에 필요해지게 된 것은 일상생활에서 손에 쥘 만한 위안거리가 없거나 뭔가 만질 만한 게 있다고 해도 너무 드물기 때문이죠. 결핍되어 있는 것은 생산자 자신인 거죠.》
편리함으로 무장한 기기들이 세상에 필요해진 것은 생산자 자신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이 말이 너무 절절하게 와닿는다. 마르크스 탄생 125주년이 되는 1943년에는 노예 거래와 아동 노동이 폐지되었지만, 이는 추방과 아우슈비츠로 대체되었을 뿐이었다. 그리고 21세기의 지금은 외국인 노동자와 난민 수용소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오래전 마르크스의 고민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위 도서를 소개하면서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로부터 무료로 도서를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