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3D업종 이라 불리는 분야의 노동력 부족과 농촌의 국제 결혼으로 이민과 이주의 문턱이 높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들은 유럽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족을 불러들이고 그들만의 문화를 공유,유지하며 집단과 소국가를 이루기도 한다. 대립과 분쟁에는 인종차별과 이민족 차별 등의 목소리를 내지만, 그들 역시 우리의 공교육 제도 아래에서 한글이 아닌 자신들의 모국어를 가르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폭력을 행하는 일도 있었다.
코로나로 세계 경제가 흔들리며 실업자가 늘어나자 유럽각국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인을 비롯한 이민자와 유학생들이 폭력의 위협에 노출되기도 했다. 실업의 불안이 이민자들로 인한 것이라는 그들 자신의 생업에 대한 위협 때문이다.
대규모의 저렴한 노동력의 유입은 얼핏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들이 번돈은 거의 자신들의 본국으로 보내진다.
내는 세금보다 받는 혜택이 더 커서 국가의 재정이 흔들리기도 한다. 우리나라만 해도 의료혜택을 목적으로 취업을 오는 이민자나 노동자가 있다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다.
우리나라에 취업을 위해 들어온 동남아의 사람들을 보면 고학력자가 많았다. 교수,의사,박사 출신인 그들은 우리나라에서 공장,택시 운전 등으로 본인들의 전문성보다 이곳에서의 밑바닥 생활이 어쨌든 고국에서의 생활보다는 수입이나 복지가 나았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문화에서 오는 가치관의 차이는 범죄에서도 드러난다.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여진 대규모의 이민은 그들의 범죄 심판에 대해서는 인종주의로 맞선다. 일종의 역차별이다. 오히려 현실적인 대처는 냉담하다는 비판을 불러온다. 동정과 연민을 앞세운 태도와 정책만이 인도주의적 행동일까?
[머리와 가슴, 현실성과 감정의 다툼]은 풀리지 않는, 아니 풀 수 없는 난제다.
유럽은 대규모 이민 그 자체도 우려되는 문제이지만 그 이민자들 대다수가 젊은 남성의 무슬림이라는 것에 더 큰 우려의 이유를 내포한다.
남성과 여성을 바라보는 태도,성소수자에 대한 태도 등 남녀평등과 성소수자들의 평등에 관한 차이로 이슬람 문화권의 이민자를 반대하던 초기의 일부 주장들은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다문화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오히려 무슬림 게토가 커지는 가운데 국가의 정체성과 자유주의적 정체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했다. 가짜 난민과 난민신청을 하지 않은 사람, 추방 명령을 받았지만 추방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인종주의는 칼과 방패,양날의 검이라 할 수 있겠다.
유럽으로 오기 위해 위험도 불사했다. 오래된 어선을 타고 밀입국을 시도하다 바다에서 목숨을 잃는 수도 많았다. 알선업자에게 속아 빚을 지고 성매매를 강요받는 여자들도 생겨났다. 나은 삶을 위해 건너는 바다가 공동묘지가 되어갔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비정부기구들의 움직임은 이민자와 난민의 수를 더욱 늘렸다. 이러한 정책은 난민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난민을 더 만들어내도록 부추기고 있었다.
저자 더글러스 머리가 유럽의 이민자를 바라보는 시각은 국가의 존립을 위해서는 이민자를 수용해야 한다는 투자가 짐 모리슨의 입장과는 상반되는 주장이다. 낯설고 어려운 국제 정치 용어가 많아서 이 <유럽의 죽음>을 읽는게 쉽진 않았지만, 우리의 이민자 수용 현실과 작년 제주도에 받아들였던 무슬림 난민 뉴스가 떠올라 그저 남의 나라 얘기로만 읽히지는 않았다.
'다양성'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을까?
※출판사의 지원을 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