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발견 - 나의 특별한 가족, 교육, 그리고 자유의 이야기
타라 웨스트오버 지음, 김희정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배움의 발견> 을 읽는 내내 어깨통증과 두통에 시달렸다. 자꾸만 감정이입이 되는 시점이 있어서 그랬던것 같다. 저자처럼 산밑에 살았다거나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거나 육체적 학대를 받아왔다는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그녀가 정신적인 갈등을 하는 부분에선 공감되는 부분도 있었고 그녀의 선택이 맘에 들지 않는 부분에선 안타까움과 함께 내가 했었던 같은 실수와 선택들이 겹치며 몸의 통증으로 나타난 듯 하다.

​타라의 아버지가 보였던 변덕과 편집증이 조현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면 그가 해온 많은 학대와 방임들이 정당화 될 수 있을까? 부모의 역할로 따지자면 엄마의 책임이 더 크다고 보여진다. 남편이 조울증을 앓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으면서! 일곱이나 되는 자식을 지켜야 할 모성은 어디에 있었을까? 종교에 대한 믿음을 내세우면서 참된 믿음의 행위는 보여주지도 못했다. 이 부모의 학대는 종교의 이름으로 행해진 것이 아니라 정신병일 뿐이다.
태어나면서 부터 그런 분위기에서 자라왔다면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알기는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벗어나기는 더더욱!

몇번이나 벗어났으면서도 매번 다시 돌아간 그녀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부모에게 사랑받고 싶은 마음? 애정결핍? 어쩌다 한번씩 제정신처럼 얘기를 들어주고 도움을 줄것 같은 엄마는 매 중요한 순간마다 침묵하거나 외면했다. 대항할 힘이 없다는게 이유였지만 경제적으로 실질적 가장이 되어 그 지방의 최고 고용주가 된 시점에서는 아버지와 똑같을 뿐이다. 어디서부터가 문제였을까? 오빠들 셋은 처음 출생신고도, 학교도 제대로 다녔다고 했는데 언제 어디서부터 이 가족은 망가져가기 시작했던 걸까.

​다친 타라를 돌봐주고 놀라 날뛰는 말에 매달렸을때도 구해주고 함께 트럭을 타고 다니며 노래를 부르던 그 숀오빠는 언제부터가 문제였던걸까. 아버지의 학대와 위험한 노동으로부터 타라를 지켜주고 보호해주던 숀오빠가 왜 타라를 죽음으로 위협하는 사람이 되어버린 걸까.
정신적으로 병든 보호자는 너무 많은 희생과 아픔을 만든다. 성인이 되어서도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만든다.
결국 만나지 않고 사는 방법이 평화를 주었다.

가혹함이나 방임의 예가 많으면 많을수록 아버지를 타라 자신의 삶에서 끊어버린 것에 대한 것을 정당화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다고 했다.
왜 진즉 그러질 못했느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태어나 자란 환경이 처음부터 그랬다면 잘못을 알아챌 수가 없는것이다.

《503.우리 가족은 반으로 나뉘어 있었다. 산을 떠난 셋과 거기에 머무른 넷. 박사 학위를 가진 셋과 고등학교 졸업장도 없는 넷. 그들 사이에 틈이 생겼고, 그 틈은 계속 커져 가고 있었다.》

《507.그것들은 변화한 사람, 새로운 자아가 내린 결정들이었다.
이 자아는 여러 이름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변신, 탈바꿈, 허위, 배신.나는 그것을 교육이라 부른다》

어쨌거나 그녀는 새로운 자아로 결정을 내리며 살아가고 있다.
교육이 아니었다면 결코 해낼 수 없었던 결정들.
나는 그녀의 결정과 결단들에 응원을 보내주고 싶다.
미운 오리 새끼가 아닌 백조로써의 힘찬 날개짓을 기대해본다.

※출판사의 지원을 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