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들고 사는 너에게 - 스마트한 사용법부터 미디어 리터러시까지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폰 안내서
아녜스 바르베르 지음, 클레망틴 라트롱 그림, 김미정 옮김 / 판퍼블리싱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나이에 스마트폰에 노출되면 좋지 않다는 것을 모르는 부모가 있을까. 실제로 미국 소아과 학회는 2세 이전까지는 스마트폰 노출 금지를 권고하고, 다양한 논문에서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다 노출이 사회성 등의 발달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자식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노력하던 부모들이 만나는 첫 번 째 고비는 초등학교 입학 무렵이다. 맞벌이 부부에게 방과후 아이의 안전을 보장할 구명줄로 첫 스마트폰을 사주고는 한다. 그 고비를 피처폰이나 키즈폰으로 넘긴 부모도 고학년이 된 아이가 '우리 반에 나만 없어!'나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폰으로 활동 하는데...' 라고 몇 번 말하고 나면 결국 두 손 두 발 다 들게 된다. 그 결과 6학년쯤 되면 스마트폰이 없는 학생은 한 반에 한 명 있을까 말까 한다.


스마트폰을 사주는 것으로 아이와의 기나긴 줄다리기가 끝나면 좋겠지만 실제로는 얼마나,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서 더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진다. 스마트폰의 각종 SNS와 유튜브, 게임이 얼마나 중독적인지는 피처폰부터 스마트폰까지 다 사용해본 요즘 M 세대 부모가 더 잘 안다.


이 책은 스마트폰의 득과 실 그리고 올바른 사용 방법을 설문과 논문 등을 바탕으로 논리 정연하게 이야기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중독성을 뇌신경과학과 연결하여 설명해주는 부분에서, 중독을 단순히 의지의 문제로 보지 않아 좋았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위험성도 사이버폭력이나 중독 뿐만 아니라, 인플루언서와 가짜 뉴스 및 알고리즘 마케팅 등 교묘하게 숨겨진 부분들도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프랑스 작가인 만큼, 책 전반의 예시가 프랑스와 유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역자가 관련된 우리나라 통계들을 가지고 보충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두께는 얇지만 담고 있는 내용이 많고 상당히 깊어 고학년에게 적당한 수준이다. 스마트폰 사용으로 부모와 입씨름을 해본 학생이라면 한 번 쯤 읽어볼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