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도 ㅣ 새소설 18
김엄지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11월
평점 :
최저 기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이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더욱 낮았다.
패딩에 쌓인 부분은 괜찮았지만 밖으로 드러난 손과 얼굴은 세찬 바람에 베인 듯 쓰라렸다.
얼어붓다 못해 팡, 하고 터져버릴 것만 같았다.
올겨울은 비교적 따뜻한 편이어서 그런지
오랜만에 찾아온 강추위가 유독 혹독하게 느껴졌다.
그러다 문득, 할도가 떠올랐다.
오소소 몸에 소름이 돋으면서 몸의 안과 밖으로 세찬 바람이 스쳐갔다.
벨 할, 섬 도.
비가 잦고 빗줄기가 거세 뺨에 맞으면 살갗이 베인다는 곳, 할도.
나는 저 두 문장에 미친 듯이 끌렸다.
어떤 이야기가 담길지 읽고 싶어 몸이 아플 정도였다.
왜 그토록 갈망했을까, 이 섬을.
아버지의 발인이 끝나고 나는 겨울의 할도를 찾았다.
그곳을 찾으라는 말이 있었으나 이제 그 이유는 영영 들을 수 없다.
모든 것이 오래된 섬.
창이 자꾸 얼어붙고 얄팍한 이불밖에 없는 숙소.
바의 여주인, 바에서 마주친 A와 B, 늙은 의사, 식당의 늙은 직원.
묘한 분위기의 사람들.
21p
할도의 또 다른 이름은 충동섬이라 했다.
나에게는 충동이 없고.
아니 없는 듯 있었기 때문에 너절했다.
나는 그것을 해결하고 싶었다.
섬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
좀처럼 벗어날 수 없을 것만 같다.
극복할 수 없을 것만 같다.
92p
사람은 왜 태어나 슬픈 기억을 하나쯤 만들고.
시간이 지나면 그걸 추억이라고 부르기도 할까요?
페이지를 펼치면 나는 할도에 있었다.
소금기를 가득 머금은 바다 냄새가 풍기고
세찬 바람이 불어와 정신이 혼미했다.
사나운 파도 소리가 귀를 먹먹하게 하고
자꾸 오한이 들며 눈꺼풀이 무거웠다.
몇 글자 되지 않는, 언뜻 보면 가벼워 보이는 문장 속에서
자주 길을 잃고 내리는 비에 얼굴을 긁혔다.
의식하지 못했지만 힘이 강한 이야기다.
언젠가 쥬지오를 찾아 여주인과 A와 B, 노의사를 만나보고 싶다.
그 자리에 이야기 속 나도 있으면 좋겠다.
우린 어떤 이야기를 나누게 될까?
코끝이 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