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좋아하세요?저는 좋아하는 편입니다.좋아하진 않더라도 크게 싫어하진 않으시죠?대부분이 그럴 거예요.그럼 나방은요?지금 나방이란 글자를 보자마자 미간에 주름이 파바박, 하고 생겼나요?제가 딱 맞췄죠?무안해하지 마세요.저도 딱 그랬거든요.왜 과거형이냐고요?지금은 생각이 좀 바뀌었거든요.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요?재미있는 세계를 엿보게 된 덕분에요.그게 무슨 말이냐고요?그럼 제 얘기 한 번 들어보실래요?여기 나방을 너무도 사랑하는 생태학자가 있습니다.그는 나방에 대한 사랑을 이야기합니다.처음엔 참 별난 사람일세, 하며 페이지를 넘기던 저는어느새 나방 사진을 보고 이렇게 말하는 지경에 이릅니다.너무 귀엽잖아!앞서 나비와 나방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는데요.우린 일반적으로 나비와 나방을 구분하지만나비는 사실 낮에 활동하는 나방의 하위군에 속한다(33p)고 합니다.새롭고 흥미로운 지식을 시작으로다양한 나방의 모습과 너무도 찰떡같이 붙은 이름들에 홀딱 빠져듭니다.영국의 매미나방이 미국으로 건너가어마 무시한 파괴자의 모습으로 대재앙을 불러일으킨 사건도 인상 깊었습니다.지구상에는 참 많은 생물이 존재한다. 지금은 모두 다양하고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우리의 조상의 조상의 조상을 거슬러가면 동물도 식물도 모두 같은 뿌리를 갖는 가족이다.그리고 우리는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유한한 자원을 공유하며 같이 살고 있다.그런데 왜 인간은 지구가 인간의 소유물인 양 만물의 영장이라는 착각 속에서그 어느 종보다 함부로 난폭하게 자원을 낭비하고 있다.우리의 잘못으로 많은 동식물들은 생존을 위협받는다.우리는 100만 개가 넘는 다양한 동물종의 이름을 부여했지만이는 전체 동물 종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33p)이 행성에는 놀랍도록 풍부하고 다양한 생명체가 살고 있습니다(43p).각각의 종은 모두 공통된 조상으로부터 이어지는 계통을 따라변화하는 지구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길을 걸어왔다. 이 특별한 길은 그 역사와 결과 모두에서 모든 종이 특별하다는 것을 뜻한다.(45-46p)이러한 변화 중 어느 것도 독립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모든 개체는 생존하고 번식하기 위해에너지와 물, 영양소 같은 자원을 필요로 한다. 일부는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충족하지만대다수는 다른 개체를 소비하거나 약탈 또는 기생을 통해필요한 요소를 공급받는다. 이것이 바로 생태학을 정의하는 특징이라 여겨지기도 하는 상호 작용이며, 어떤 유기체도 다른 유기체로부터 독립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44p).우리는 자원이 유한한 행성을 살고 있다(77p).작은 개체군은 약간의 환경적 불운으로 쉽게 멸종될 수 있다(85p).최근 이 작년에 새로운 배우가 등장해모든 줄거리에 스며들고 있기 때문이다.그 배우는 개체군의 동태부터 공동체의 구조와 모든 지역의 다양성까지생태계 작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점점 더 중요한 동인이 되고 있다.그러나 이는 줄거리를 새롭고도 달갑지 않은 방향으로 몰고 가며따라서 그 영향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그 배우는 다름 아닌 우리 인간이다.(51p)부디 더 이상의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않고지구를 위해, 인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동식물 가족들을 위해적극적으로 환경을 아끼는 우리가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