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사소한 구원 -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서른두 통의 편지
라종일.김현진 지음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사소한 구원』 라종일, 김현진 / 알마

답 없는 청춘을 위한 가장 소중한 구원

 

 

 

 

  책을 읽고 나서

 간간이 친구와 얘기를 나눈다. "전화해도 돼?" 혹은 "나 고민이 있어"라는 말로 이어지는 이야기들은 대개 고민 상담이다. 청춘, 그리고 사회 초년생이라는 경계 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고민을 털어놓고, 우리는 서로 될 수 있는 한 좋은 방법으로 해결하기를 바라는 마음의 조언을 남긴다. 하지만 역시 명쾌한 답은 나오지 않는다. 비슷한 출발선에서 달려, 비슷한 거리에 머물러있는 우리는 서로에게 '원할 것 같은' 답을 내어줄 수밖에 없고, 선택 또한 자신의 몫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도 아직 선택의 끝을, 결과를 경험해보지 못한 우리는 바라던 정도의 위안을 얻고, 다시 집에 돌아가 같은 고민을 곱씹고 또 곱씹는다. 이럴 땐, 제대로 인생을 경험해본 누군가의 말 한마디라도 있었음 좋겠다. 답을 내려주진 않더라도, 약간의 힌트라도 누가 안겨줄 수 있는 사람이 없을까? '가장 사소한 구원'이라도 필요로 하는 애송이 같은 청춘에게 말이다.

꽤 여러 번이나 답답함을 맛보고 나니, 속마음을 진심으로 내보일 '인생 선배'가 있다면 정말 행복한 일이라는 생각이 부쩍 드는 요즘이다. 모든 것을 터놓을 만큼 가깝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직접 대면해서도 좋지만, 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마음을 꾹꾹 눌러 담은 서신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여기, 나의 부러움을 한가득 담은 책 한 권이 있다.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편지를 엮은 『가장 사소한 구원』이다.

궁지에 몰린 쥐가 도망칠 틈새를 찾아내듯이,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사소한 구원에 매달렸다. 그것이 선생님과의 서신 교환이었다. 뒤에 나오는 이야기지만, 선생님은 고통을 활자로 옮기라며 단호하게 이야기하셨다. "이야기된 고통은 더이상 고통이 아니다. 당신이 그 고통들을 글로 쓸 수 있을 때 당신은 비로소 낫게 될 것이다." (7쪽)

 돈도 빽도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이자 에세이스트 김현진이 보내는 ‘은밀한 연서’는 차근차근 엘리트 코스를 밟아온 라종일 교수에게 닿는다. 자기 비하와 한탄이 가득한 청춘의 편지에 답하는 노교수의 회신에는 "기다렸다."라는 따스한 말과 경험과 연륜에서 우러나온 조언이 함께한다. 그들은 이야기를 나눈다. 행복에 대해, 어른이 되는 것에 대해, 젊은이들의 미래에 대해, 세상에 대해…….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청춘이 "훌륭한 어른이 되기 위해 꼭 갖춰야 하는 게 뭘까요?"라고 물으면, 스승은 "왜 어른이 되려고 합니까?"라고 다시 묻는다. 청춘이 "우리 사회 청년들의 곁길이 너무 없는 것 같습니다."라고 조언을 구하면, 스승은 "에덴의 낙원 이후에 세상이 자기에게 친절하리라는 기대를 하면 안 된다."라는 따끔한 말을 던져주는 것이다. 질문이 질문을 부르고, 당연하게 답이 나와 있을 것 같은 물음에 또 다른 의문이 생기는 이 스릴 있는 서신 교환은 '어쩌면 우리들의 이야기'이기에 현실과 맞물려 뜨거운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저는 늘 당신 편입니다"하고 모든 이야기를 마음을 다해 들어주고, 투정 섞인 신세 한탄에 내가 보지 못한 이면을 가르쳐주는 누군가가 못내 부럽다는 생각이 들 때쯤, 편지의 수신자를 나에게로 돌려보기 시작한다. '어쩌면 우리들의 이야기'이고, '어쩌면 나의 이야기'이기에 허공에 질문을 던져보고, 스승의 따뜻한 말들을 되짚어 읽어본다. '가장 사소한 구원'이라 이름 붙인 그들의 서신이 나에게 닿아 '가장 소중한 구원'이 될 때까지.

 

Written by. 리니

한국 에세이/ 편지, 서간집 

소장하고 있는 책을 읽고 쓴 서평입니다.

 

 

선생님은 젊은이들이 자신의 생각대로 움직여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요즘 그렇게 할 수 있는 청년들이 몇이나 될까요. 오히려 사회가 요구하는 규칙을 온몸을 다해 준수한 다음, 그것을 자신의 선택이라 생각하고 자긍심을 가지면서 경쟁이 극도로 격화된 사회에 적응해나가는 것이 젊은 세대의 생존법이 아닌가 합니다. 그런 주류 사회의 길에서 벗어난, 혹은 낙오되어버린 저 같은 사람은 그저 그 광경을 바라보기만 할 뿐이지만, 한때 그 안에 소속되어 있었던 사람으로서, 또 한사람의 (늙은?) 젊은이로서 선생님이 말씀하신 대로 자기 스스로 생각해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많습니다. (71쪽)

그런데 얼마 전 "우리나라의 앞날은 십 년 후 필리핀처럼 될 것이다."라는 글을 봤습니다. 지금처럼 자기계발로 역량을 높여 어떻게든 위로 올라가려는 시대는 지금이 마지막이고, 결국 계급이 고착화될 것이라는 예상이었습니다. 그 글을 읽고 선생님께 질문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사실 저도 이제 우리나라의 `계급`은 완전히 고착화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거든요. 사교육 문제도 그렇고 개천에서 용이 나는 시대는 이제 저물어버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첫 끗발이 개 끗발"이라는 좀 천한 소리까지 동원하자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대학을 가느냐가 그 사람 인생 절반 정도는 결정해버리는 것 같아요. (120쪽)

우리가 어려운 일들은 잘 헤쳐나왔으니 앞으로도 잘될 것이라는 말이 아닙니다. 앞으로 닥쳐오는 문제들은 어쩌면 이제까지 당면했던 문제들보다 결코 쉽지 않은 것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가 이런 문제들을 불합리한 장애 없이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여건은 마련되어 있다고 여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 공동의 공적인 사안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말하자면 사적인 존재에만 안주하지 말고 공적인 인간으로서 함께 참여하고 함께 노력할 준비를 갖춰야 합니다. (140쪽)

제가 너무 낙관적인 사람으로 보일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그렇게 낙관적이지도 않고 더구나 우리나라가 훌륭하다는 생각도 않습니다. 제가 진보이고 발전이라고 생각하는 것 이면에는 구석구석 어려운 일들이 도사리고 있겠지요. 그뿐 아니라 우리 사회를 비판적인 안목으로 날카롭게 바라보고, 그 내부의 부정적인 면을 파헤치는 것도 훌륭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세상이 조금씩이라도 좋아지겠지요. 적어도 "부러울 것이 없다"든지 "아름다운 것만 보라"는 것보다는 좋은 일입니다. 단지 여러 곳에서 여러 가지 일들을 보다 보면 이 세상에 모든 사람이 바라는 대로 모든 것을 실현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사람들이 자기가 갖고 있는 것, 가족, 친구들, 자기가 사는 세상 등을 우선 귀하게 여기고 부족한 것을 고쳐 나가는게 좋아 보입니다. 항상 현실에 비판적인 안목을 유지하면서 개혁과 개선을 추구하는 것만큼이나 이미 이뤄놓은 것을 평가하고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리라 여깁니다. 그러나 그런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요. (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