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멘탈이지만 절대 깨지지 않아 - 상대에 따라 상황에 따라 자주 흔들리는 사람들을 잡아줄 마음 강화 습관
기무라 코노미 지음, 오정화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 비전멘토 꿈쌤박상림 KPC 코치입니다.

상대에 따라 상황에 따라 자주 흔들리는 사람들을 잡아줄

마음 강화 습관 책을 소개합니다.

아주 사소한 말에도 상처받고 수시로 자신감이 떨어지고

'나는 왜 이럴까?'하는 생각에 매일 조금씩 지치는

소심한 극 I, 두부 멘탈, 쿠크다스 멘탈들을 위한 극약 처방이 들어 있어요.


왠지 인생이 꼬일 것 같은 기분이 들 때

P40-42


멘탈을 안정시키고 싶다면 멘탈이 무너졌을 때 얼마나 빠르게 '일반 모드'로 회복할 수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회복탄력성이라고도 하지요. '기분 좋은 모드'로 어떻게 빠르게 전환할 수 있을까요? 기분이 좋은 상태의 가치를 내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멘탈의 상태는 업무나 인간관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언제나 기분이 좋은 사람의 주변에는 똑같이 기분 좋은 사람들이 모여있습니다. 반대로 무리 안에 기분 나쁜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그 사람의 눈치를 보고 신경 쓰게 됩니다. 분위가 좋지 않고 그 사람의 부정적인 감정이 전염이 됩니다. 에너지 뱀파이어들이라고도 합니다.

불쾌한 감정을 오래 가지고 있는 것은 어떤한 이점도 없습니다. 오히려 자신에게 해가 될 뿐입니다. 기분 좋은 상태의 가치가 무엇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봅니다. 업무에서 중요한 것을 잘 소화해 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도와주니 기쁩니다. 서로 의견을 쉽게 말하니 수월해집니다. 의욕이 샘솟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커지니 더 행복해집니다. 밥맛이 좋고 건강할 수 있습니다. 표정이 풍부해지고 예뻐 보이기까지 합니다.

기분 좋은 상태일 때 '인생 간단 모드'의 스위치를 켤 수 있습니다. 자 멘탈 관리 연습으로 '나는 언제 기분이 좋은가?'라는 질문에 10~20개를 써보고 낭독해 봅니다. '기분 좋은 나는 최고야!'라고 외쳐 봅니다.


'부럽다'를 '나도 해보자'로 바꿔라

P109-111


'저 사람은 저렇게 뛰어난데, 나는 제대로 하는 게 없구나'라는 생각이 들며 초조하고 울적해질 수 있습니다. 매력적인 사람이나 대단한 결과물을 만들어 낸 사람들을 보면서 나 자신과 비교를 합니다. 인스타그램이나 SNS에 비추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반짝이는 그들을 부러워합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상처받거나 '나는 왜 못 할까?'라는 초조한 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어차피 나 따위'는 이는 자기 비하를 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을 낮추다 보면 사고나 행동이 자포자기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다시 원래의 평범한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어야 하는데 자신에 대한 믿음이 점점 줄어들게 만드는 사고 체계 속으로 빠져들어 가게 됩니다. 자신을 비하하는 생각 습관은 자신의 멘탈을 흔드는 불행한 환경을 스스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스스로를 망치는 안타까운 일이 되어 버립니다.

열심히 노력해야겠다는 마음으로 바꿔 봅니다. 멋진 사람을 보고 질투도 나고 부러운 마음이 들면 자신도 그렇게 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행동을 하면 됩니다. 그들이 그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까지 시간 값과 에너지를 넣었다는 것을 기억하고 똑같이 해보는 것입니다. 나만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빛깔로 새로운 멋진 성과물이 만들어집니다.

나에게는 가능성이 있고, 성장하고자 하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질투, 열등감은 더 나아지고 싶다는 욕망입니다. 어떻게 하면 더 좋을지 고민합니다. 자신이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귀찮아하지 않고, 그 과정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즐깁니다. 엄청나게 노력하며 매일매일 고민하고 실행한 결과물입니다.


'왜 나는 안 될까'라고 느끼는 사람의 멘탈 회복 법

P167-169


다른 사람들에게 잘 보이고 싶고, 좋은 평가를 받고 싶고, 존경받거나 인정받고 싶은 욕구는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인정 욕구'라고 합니다. 이 욕구에는 '낮은 수준의 인정 욕구'와 '높은 수준의 인정 욕구' 두 가지가 있습니다.

'낮은 수준의 인정 욕구'는 다른 사람의 평가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칭찬이나 주목을 받고, 대단하다는 말을 들으면 충족이 됩니다. '낮은 수준의 인정 욕구'가 너무 강한 사람은 상대보다 우위에 서려고 하기 때문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높은 수준의 인정 욕구'는 자신을 존중함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입니다. 자기 자신을 먼저 사랑합니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합니다.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며 기술이나 능력을 습득합니다. 다른 사람의 평가보다는 자신의 평가를 더 중시합니다.

자신을 먼저 인정해 주는 '높은 수준의 인정 욕구'가 '낮은 수준의 인정 욕구'보다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타인 중심이 아닌 자기중심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계속해서 자신을 칭찬하고 소중히 하고 인정해 주어야 합니다. 스스로 즐거운 일을 스스로 만들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사소한 행복에 눈을 돌려 적극적으로 의지해서 기분 좋은 상태로 시선을 돌려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