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지도 - 주식보다 쉽고 펀드보다 효과적인
최창윤 지음 / 원앤원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 비전멘토 꿈쌤박상림 KPC 코치입니다.

주식은 어렵고, 펀드는 불안한 당신을 위한

실패 없는 ETF 투자방법을 알려주는 책을 소개합니다.

쉽고 확실하게 수익 내는 ETF 투자 특강입니다.

기본 개념부터 종목 선정 노하우, 매매 전략까지

꼭 필요한 정보만 담겨 있습니다.

부의 사다리로 안내할 ETF 투자 지침서 읽어 보세요.


그래서 ETF가 뭔가요?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다.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를 의미한다.

P21-23


우리에게 잘 알려진 지수추종형 ETF가 있습니다.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만들어진 ETF입니다. 'KODEX 200'이 대표적입니다. 지수추종형 ETF는 지수의 구성 종목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면 상승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수익률이 떨어집니다.

괴리율은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ETF의 가격과 추정순자산가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갭을 비율로 매긴 값을 말합니다. 매수하기 전에 괴리율을 확인하고 사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무리해서 개별 주식을 투자하지 말고 ETF를 살 것을 권합니다. 개별 종목을 매수해 대박을 꿈꾸지 말고 꾸준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적립식으로 ETF에 투자하길 권합니다.


산업별 사이클에 민감해야 하는 이유. 초보 투자자라면 시크리컬 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는 피하는 것이 좋다.

P78-83


개인투자자가 조심해야 할 부분은 산업의 호황과 침체 사이클, 상승과 하락 사이클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이라는 보도가 쏟아졌던 2020~2021년을 돌아보면 삼성전자의 주가는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계속 하락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사이클을 분석해 보면 전형적인 시크리컬 산업의 특성을 보입니다. 반도체는 사이클마다 지속 기간을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하나의 상승 사이클 안에서도 주가는 여러 차례 등락합니다.

"어떤 사업을 하는지 당신이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회사의 주식은 사지 마라." 워런 버핏의 말을 명심해야 합니다.

국내 반도체 ETF로는 'KODEX 반도체 (삼성자산운용, 06년 상장, 시총 5,270억 원)' 'TIGER 반도체 (미래에셋자산운용, 06년 상장, 시총 2,426억원)'가 있습니다. 시총 기준은 2023년 8월입니다.

운용사 사이트에 접속해 ETF 티커로 검색하거나 운용 상품을 정리해놓은 부분을 찾아서 확인하면 됩니다. 가급적 운용사 사이트는 자주 방문해서 최신 자료 검색해 보면 좋습니다.

'ETF닷컴(www.etf.com)을 이용하여 미국에 상장한 다양한 ETF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data.krx.co.kr)을 이용해서 시장의 큰 흐름과 추적오차율, 괴리율 등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워런 버핏이 추천하는 지수추종 ETF. 미국의 가장 매력적인 기업이 모여 있는 S&P500 수익률을 매년 이기기란 쉽지 않다.

P93-97



우량한 BM을 추종하는 ETF를 눈여겨봐야 합니다. S&P500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인 'SPY'의 최근 20년간 차트를 보면 몇 차례 하락을 제외하곤 매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년 동안 딱 2번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S&P500과 함께 미국 증권시장을 대표하는 다우존스를 추종하는 ETF로는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e ETF Trust(스테이트 스트리트, 98년 상장, 시총 31.15B 달러)가 있습니다.

배당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얼마나 오랫동안 높은 배당수익률을 유지하느냐일 것입니다. 'SPYD'의 경우에는 1년간 총 4번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매 분기 0.25달러 이상의 배당을 지급했고, 코로나19로 인해 배당 재원에 악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 마지막 분기에만 배당금액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습니다.

커버드콜 ETF는 주기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즉 원활한 현금흐름을 만들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코스피200에 커버드콜 전략을 취하는 국내상장 ETF로는 'TIGER 200 커버드콜ATM(미래에셋자산운용, 18년 상장, 시총 182억 원) 'KBSTAR 200 고배당커버드콜 ATM(KB자산운용, 18년 상장, 시총 73억 원) '마이티 200 커버드콜ATM레버리지(DB자산운용, 18년 상장, 시총 45억 원)가 있습니다.


매수와 매도,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 테마형 ETF를 통해 시장수익률 이상을 노린다면 매입 시점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P207-211



단기투자는 되도록 시장이 안정적일 때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는 시기에는 단기투자를 지양해야 합니다. 개인투자자가 시황을 판단하는 방법은 첫 번째, 최근 한 달간 시장 대표지수(S&P500, 나스닥, 코스피 등)가 -2% 이상 하락했다면 단기매매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합니다.

두 번째, '공포담욕지수'를 참고하는 방법입니다. 30 이하라면 시장에 어느 정도 공포가 반영되어으니 지금부터는 조금씩 매수해도 좋다는 신호입니다. 반면 60이상이라면 시장에 탐욕이 꽤 반영되어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자동매수 기능을 활용한 장기 적립식 투자.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의 자동매수 기능을 활용하면 주가의 등락폭에 따라 판단이 흐려지는 실수를 줄일 수 있다.

P226-232


최소 3년 이상 장기 적립식 투자를 하겠다고 마음먹었다면 호가에 관계없이 꾸준히 수량을 모으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매수기능을 제공하는 증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주가의 등락폭에 따라 판단이 흐려지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은 인내심 없는 사람의 돈을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 이동시키는 도구다.

워런 버핏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