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맵핑마인드
리타 카터 지음, 크리스토퍼 프리스 자문, 양영철.이양희 옮김 / 말글빛냄 / 2007년 2월
품절


우울증은 단지 기분의 문제만이 아니다. 피로감, 고통, 불면, 식욕부진과 같은 신체 증상이 동반되고, 기억력이 감퇴되며 사고가 무뎌진다. 또 불안감이나 공포감, 동요가 일어나며, 환자는 죄악감에 시달린다. 자신은 가치가 없고 누구에게도 사랑을 받지 못하며 누군가를 사랑할 수도 없다고 고민한다. 삶의 보람을 느끼지 못하고 모든 면에서 '의미'를 잃어버린다. 좋아하는 음악이나 그림을 접해도 아름다움과 기쁨은 밀려오지 않고, 언젠가 들어본 듯한 음표나 패턴의 나열로 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심각해지면 제니퍼처럼 자신이 죽었다고 생각한다.-200쪽

이밖에도 우울증 환자는 두정엽이나 측두엽의 상부, 즉 외부에서 발생하는 일에 주의를 집중하는 부분이 죽어 있다. 그래서 뇌는 내성적으로 변하고 주변의 움직임이 아닌 자신의 생각에만 집착한다. 우울증 환자가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신의 고민만을 하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202쪽

우울증의 경우, 뇌 활동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부분도 있다. 그중의 하나는 전두엽 앞두분의 외부 가장자리도 해당된다. 워싱턴 대학 약학대학원의 마이클 포스너와 마커스 라이클은 정상적인 사람에게 오래된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기억력 테스트를 실시했다. 실험 결과 그 부분이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자신에게 일어났던 슬픈 일을 떠올릴 때도 그 부분이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그곳은 의식적인 장기 기억의 보존 장소로 여겨졌다. 또한 우울증이 오면 부정적인 감정을 관장하는 편도체도 활성화된다. 이 편도체를 자극하는 시상의 상부 정중앙도 마찬가지이다. 대뇌구의 내측에 있는 전두대피질은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을 때, 특히 외부에서가 아닌 머릿속에서 발생한 아픔 등의 감각을 인지할 때 유난히 활성화된다.-203쪽

우울증에 걸리면 활동 이상을 초래하는 장소가 생기며, 그것이 부정적인 감정의 악순환을 만든다.
(A) 전두대피질은 슬픈 감정에 주의를 고정시킨다.
(B) 전전두피질의 외측부는 슬픈 기억을 의식 속에 남긴다.
(C) 시상 중부는 편도체를 자극한다.
(D) 편도체는 부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낸다.-2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