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인문학과 번역비평
전성기 지음 / 고려대학교출판부 / 2008년 4월
장바구니담기


한자어들의 대량 유입으로 비롯된 한국어 어휘의 중요한 특징은 동일 대상을 지칭하는 동의어들인, 수많은 한자어와 고유어로 된 이중어들의 존재이다. 이들은 언어 층위가 서로 다른데, 대부분의 경우, 한자어가 긍정적으로 표지된다. 다시 말해, 한자어들이 높임말이다. 여기서도 언어는 중립적이 아니라, 그 사용자들의 의식을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의 차이들은 문화적으로 '우위'인 언어와 '하위'인 언어 사이의 접촉과 간섭의 결과이다. 오늘날에는 예전에 한문이 차지하고 있던 자리를 영어가 점점 차지해 가고 있음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으나, 영어공용어론까지 대두되는 것을 보면, 이러한 현상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나 판단들에는 큰 차이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