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삼국지 - 상
주대황 지음,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군가는 이야기한다. 삼국지를 한번도 읽지 않은 사람은 사귀지 말라.. 또는 삼국지를 3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대적하지 말라.. 그러나, 삼국지연의에 기초를 한 삼국지들이나 평전, 의역등 여러 삼국지들을 읽어가는 동안 대부분이 소설적인 부분에 감동하고 영웅들의 안타까운 비명에 한숨을 내쉬기도 하게된다. 삼국지연의에서 유비를 너무나 미화하였다고 하여 현 시대의 새로운 삼국지들은 세상과의 교감을 통하려는 듯 많은 비화들을 내세우고 있다.

반삼국지는 중국인인 이대황이 중국적 시각에서 그리고, 영웅의 죽음을 아쉬워하는 듯한 마음으로 기존 삼국지의 틀을 깨어가고 있다. 첫장에서 서서는 조조의 모친 억류에서 벗어나고, 공명은 이미 유비와 합류하고 있다. 나는 첫장을 넘기며 그래 이랬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하고 상상하던 일이 이 책속에서 실현되고 있는 것을 느낀다. 간혹 '원래 삼국지에서는 이게 맞나?' 라고 되물어 보면서.. 그러다 마초의 누이동생과 조운의 만남이라니.. 허허 참.

황당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면 책을 펼치지 말라. 이미 삼국지의 장수들과 그 계략, 그리고 공명 이하 사마중달의 지략은 하늘을 속이지 않는가!!! 그런 기대없이 그래 이럴 수도 있을 것이다 라는 생각으로 본다면 재미있을 것이다. 물론, 유비 쪽에 대한 편파적인 응원과 조조에 대한 일방적인 냉소는 현재의 조조 옹호론들과 비교하면 일말의 가치도 없을것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삼국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여러 에피소드와 이야기의 전개는 한번 쯤 비교해 보면 좋을 듯 하다. 그리고, 각 장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가의 한마디 한마디...

조조를 다시 인식하는 시각을 지향하는 이즈음 삼국지의 기본 틀을 한번 정도 바꿔보는 시도도 괜찮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