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스펄전 목회 광맥
송삼용 지음 / 넥서스CROSS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목회자로서의 스펄전, 터버너클을 이끌며 평생을 일구어온 교회는 어떻게 목회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의 흔드심 - 칼 바르트의 성화론
이정석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칼 바르트의 성화론을 다룬 것이다. 바르트의 성화론에 대한 논의와 논문, 저서 등을 통해 바르트가 말하는 성화론은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했다.

 

바르트는 변증법을 이용하여 신학을 하였다. 그러나 헤겔과 다른 점이 있다면 헤겔은 '정반'-'합'에 이르는 결론을 도출하지만, 바르트는 '정'-'반'으로 끝난다. 즉 합이 없다. 이러한 구도는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은 바르트가 신학에 있어서 신정통이라는 독특한 신앙관의 기본전제이다. 하나님은 인간이 쉽게 이해하는 정도의 신이 아니다. 하나님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의 존재이고, 불가해한 존재이며, 절대타자이며, 초월된 존재이다. 그래서 인간의 수준에서의 '합'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신앙에 있어서의 모순을 그대로 떠안자는 것이며, 굳이 그것을 우리의 머리로 풀지 말자는 충고이기도 하다.

 

바르트의 성화론은 다분히 초월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자가 찾아야 할 자리를 찾아가는 여행이라고 보아야 한다. 역사의 모호성 속에서 신자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그 답은 십자가로의 귀의이다.

 

십자가는 이 세상을 살아갔던 예수 그리스도의 삶의 총체이며, 본질이며, 속성이다. 십자가가 가지는 의미를 보라. 모호한 상황 속에서 죄인들을 위해 수고하고, 오해받고, 힘들어 했던 결론이 십자가이다. 어떠한 변명을 위한 수단이 아니다. 오로지 저주의 길을 홀로 간 표시가 십자가의 죽음이다. 신자는 이러한 불확실성의 시대 속에서 오직 십자가의 길을 가야 한다. 이것이 바르트의 성화론의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독교 죄악사 -하
조찬선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쓰레기 같은 책, 신학과 역사를 전공한 나에게 이 책은 잡다한 쓰레기 짜집기한 것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스라엘 12지파 탐사 리포트
이요엘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중요하지만 잊혀진 12지파의 연구도서.. 정말 귀중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교리 문답 강해 - 개정판
G.I.윌리암슨 지음, 최덕성 옮김 / 개혁주의신행협회 / 2006년 3월
구판절판


소요리문답 해설집
영국의 청교도인 리차드 백스터 목사는 소요리문답을 가장 좋은 교리문답서이며, 기독교 신앙과 교리에 대한 가장 훌륭한 요약이라고 말했다. 개신교에서 가장 중요한 세개의 교리문답집이 있다. 하나는 류터의 교리문답,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소요리문답집이 그것이다. 루터의 교리문답은 1563년, 하이델베르크 문답집은 1563년, 웨스트민스터 대소리문답은 1647년에 작성되었다. 웨스트민스터 교리문답집은 17세기의 소산으로 종교개혁의 정신을 총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소요리문답은 칼빈주의 교리의 가장 완숙한 표현이며, 개혁주의 신학을 집대성한 것이다. 소유리 문답은 107개의 질문과 답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교리의 요점을 가장 잘 정리한 것이다.

저자인 윌리엄스는 필자가 뉴질랜드의 어느 개혁교회 목사로 있을 동안 집필한 것이다. 교리문답 공부는 수업 전에 학생들이 각과를 주의 깊게 읽고, 질문의 답을 기록하도록 했으며, 그 후에 해답을 수업 시간에 발표하고 토론하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