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이사하기로 하고, 학교도 옮기기로 결정하고 나니 마음이 편하다.
그러고보니 지난 20년내내 실패의 연속이다.
매일매일의 실패는 물론이고, 커다란 외적 실패도 몇 차례.
하긴, 그렇다고 20년 전까지는 성공이었냐면 그건 더더욱 아니다.
결론은.... 아- 말을 말자.
열등감도 자격지심도 클대로 커졌지만, 그보다는
뒤늦게 내 유별난 결벽증을 이해했고....
이제야 한 걸음 제대로 내딛을 수 있을 것같다는 혼자만의 믿음에,
이젠 정말이지 아무도 안믿어줄, 작은 불씨같은 믿음에 나를 걸어보려고 한다.
때마침 기다리던 책이 왔다. 주성혜의 "음악학" (2008, 루덴스).
음악학자 주성혜의 세 번째 책이다.
처음 책은 "음악읽기 세상읽기" (1996, 중앙일보사), 두 번째는 "음악원 아이들의 한국문화 읽기" (2002, 예솔) 이었는데 두 권 모두 내게는 바이블같은 책이다. 두 번째 책은 예술종합학교 학생들이 쓴 글 모음이지만 내겐 여전히 주성혜 선생님의 목소리를 듣는 것같았다. 주성혜 선생님한테선 고등학교때 음악사를 배웠다. 그처럼 쉬운말로 그처럼 명료하게 역사를 설명하는 사람을 전에도 후에도 본 적이 없다. 그는 느낌만으로 아는 세계 석학들의 이론을 위험하게 엮서 자기 생각과 뒤섞어 책을 팔거나 그런 식으로 학생을 현혹하는 사람이 아니다. 분명하게 아는 만큼만, 아니 분명하게 아는 것같은 것도 다시 뒤집고 엎고 꼭꼭 씹어서 자기 언어로 말한다. 여하튼 위 세권은 명곡, 작품 자체가 아닌 음악활동의 주체인 사람에 관심을 두는 이들이라면 한줄씩 밑줄그어 읽어도 좋다. 처음 책이 음악학(작품분석, 해설위주 학문)에서 음악 사회학으로 눈을 돌리자는 내용이라면, 두번째는 음악 사회학에서 음악 인류학, 공연학으로의 촛점 변화, 그리고 오늘 온 새책 (그래도 벌써 작년 10월판이지만)은 탈식민지주의가 그 핵심어다. 6년에 한 번씩 나온 책들 속에서 천천히 진행해가는 변화를 보는 것도 내겐 소중하다.
세권의 책이 나오는동안 나는 줄곧 미국에 있었다. 천천히 피아노를 다시 배웠고 사랑이란걸 이런저런 모습으로 해보고 배우느라 숱한 시간과 돈을 날렸다. 거만하고 촌스런 학풍의 지금 학교엔 연주, 이론, 음악사뿐이고 현대음악도 외면하고 있어서 따근한 음악사회학이나 인류학, 미학쪽으로는 들어볼 일이 없었다. 자주 주성혜 선생님을 기억했다. 80년대 민족·민중음악 운동이 활발할때 선생님은 거기에 빠지지 않았다. 민중이란 말만 들어도 피를 끓이던 젊은 이들과 달리 선생님은 특유의 합리성으로 가만히 지켜보고 계셨다. 용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뭔가 석연치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건 아마 데모대를 동경했던 내가 캠퍼스에서 벌어지는 획일적인 율동과 노래를 보고 얼굴이 흑빛이 되어 돌아나왔던 것과 같은 맥락일 것이다.
이 책은 민족주의+자본주의=현대식민지주의를 경고한다. 전통음악을 살려야한자고 다들 말한다. 무엇을 위해서? 우리가 북치고 장구치고 판소리를 생활화 하는 것이 옳고 그리고 가야하기 때문에? 바이올린 보다 가야금을 더 많이 들고다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그것이 정말 옳은가? 순수한 민족주의 뒤에 도사리고 있는 상술과 거대한 서양학문의 요구로 만들어진 오리엔탈리즘에 대해, 그리고 우리에게 진정 음악이란 무엇이어야 하겠는가에 대해 이 책은 조목조목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