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팅컬처 - 거짓과 편법을 부추기는 문화
데이비드 캘러헌 지음, 강미경 옮김 / 서돌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는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음악 파일과 영화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서 그런 행동이 저작권 침해의 불법이며, 새롭게 진출한 밴드나 영화의 최저 수입까지 위협할 수 있음을 어렴풋이나마 알고 있다. 그런데 왜 별다른 죄의식 없이 일상적으로 음악 파일과 영화 파일을 불법으로 다운도르 하는 것일까.
이 책은 미국인들의 편법과 속임수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미국인들이 사적인 영역(개인)에서부터 공적인 영역(사회)까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편법과 속임수를 쓰는 것에 대해 사례를 조사, 연구하고 그 원인을 규정한다. 그리고 편법과 속임수의 근절을 위해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저자 데이비드 캘러헌은 미국인들의 편법과 속임수의 근본적인 원인을 ‘자유시장 경쟁 원리’로 보고 있다. 데이비드 캘러헌은 능력과 성과만을 중시하는 자유시장 경제 원리가 필연적으로 사회적 소득 불평등을 초래하고,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저소득층은 이 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사회적 규범과 도덕을 등지게 된다고 말한다. “1960년대 들어” 자리잡은 미국인들의 개인주의는 극단적 이기주의로 바뀌어 편법과 속임수에 가속도를 붙인다. 그리고 캘러헌은 우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고소득층이 되면 저소득층일 때의 편법과 속임수에 대해 처벌을 받지 않아도 되는 문화가 자리잡았고 있기 때문에 “실패에 따르는 대가가 크”고, “성공에 뒤따르는 보상이 클수록” 속임수의 유혹은 강해진다고 말한다. “체계가 썩었”고 “법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하느님은 남보다 돋보이는 사람을 돕는다”는 말이 이 책이 미국에서 출간된 2004년 이전과 이후의 미국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최고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클수록 점점 많은 사람이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무슨 짓이든 불사하려 든다.”
이 책에는 많은 사례들이 등장해서 책의 두께가 두껍다. 모두 미국의 사례다. 그런데 많은 사례들을 보고 있으면 다른 나라가 생각난다. 바로 한국이다. 불법 다운로드, 성적 향상을 위한 학생들의 부정행위, 개인과 기업인의 탈세, 의사와 제약회사의 유착, 변호사와 회계사의 거짓 회계 보고 등은 한국에서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편법과 속임수의 사례다. 텔레비전 뉴스를 보면 거의 하루도 거르지 않고 위법 행위에 대한 적발 또는 처벌의 사례가 나온다. 한국이 미국과 같은, 미국은 좇는 경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나라이기 때문일까. 캘러헌이 제시하는 사례들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그가 제시하는 대안을 유심히 볼 수밖에 없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소개하는 사례만큼이나 많고 산발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어야 하고, 자유시장을 길들여야 하며, 일한 만큼 대가가 따르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최저 임금을 올린다. 그리고 경제 성장의 결실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해야 하며 교육의 평등과 기회를 확산시키고 고용 불안을 줄이며 사람들이 부를 쌓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애초에 자신의 이론이 아니라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렌의 이론이나 《승자독식사회》를 쓴 로버트 프랭크와 필립 쿡 등의 분석을 기초로 하다 보니 일관되게 정리된 사례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산발적인 모습은 책 여기저기에 같은 사례와 주장의 반복을 통해 알 수 있다. 캘러헌의 연구가 아직 출발 단계이거나 그가 글을 잘 못쓰는 사람일 수도 있고 연구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결국 도태될 위협을 느끼더라도 정직한 "바보가 돼라"고 말한다. 그가 제시하는 대안이 유토피아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가 조금만 더 체계적이었으면 하고 독자로서 바라는 것일 뿐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사례 중 기업가들이 부를 축적하는 것을 보고 느낌 점을 말하고 싶다. 게임 스타크래프트는 싱글플레이(single play)를 할 때 “show me the money”를 입력하면 엄청난 돈이 생겨 상대보다 강력하고 많은 전투 유닛을 생산할 수 있다. “black sheep well”을 입력하면 전투가 벌어지는 전체 지도를 볼 수 있다. 상대의 전략을 모두 알 수 있는 것이다. 기업가의 부 축적을 보면서 “show me the money”와 “black sheep well”이 생각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