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트료시카 ㅣ Dear 그림책
유은실 지음, 김지현 그림 / 사계절 / 2022년 9월
평점 :
“지난 시간이 생생하게 각각의 얼굴을 가지고, 겹겹이 쌓여 있는 것 같다.
내 안의 아이와 청소년을 잘 품어야, 내 밖의 아이와 청소년을 품는 작품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크고 넉넉한 품으로, 내 밖의 어리고 여린 존재들을 품고 싶다.”
유은실 작가님의 그림책이 나왔다. 유은실 이름만으로, 벅차오르는 팬심으로 격하게 반기고 당연히 맞았다. 그런데 첫인상은 어렵고 어두워 당황스러웠다. 봄결 같은 사람에게 찬 바람을 느꼈다고 할까. 위에 옮겨 적은 작가님 말을 새기니 찬 바람 들던 창이 닫힌다. 그리고 처음부터 찬찬히 다시 보니 온기 가득 유은실 그대로다.
마트료시카, 이국 인형의 생경한 이름을 발음하며 외웠을 때부터, 인형 속의 인형, 또 그 인형 속의 인형 그 신기함을 알았을 때부터 붙들려 있었다. 유은실 작가님도 그렇게 매혹되어 이런 시를 쓰셨을까. 품는다는 말로 어쩜 이런 숨결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작가는 첫째에게 ~~ 주었습니다. 첫 문장의 작가는 엄마인가. 신일까.
“하나이면서 일곱이네.” 많은 피붙이가 나로 엉기고, 내 다중인격이 펼쳐졌다 오므려졌다 한다.
어둠에서 품고 빛에서 바라보다…… 아, 소설가님이 시를 쓰셨다. 엉엉 울고 싶은 싯구다.
다시 품은 입 없는 아이, 너는 누구니? 책을 덮어도 오래 골몰하게 하는 존재, 내 한가운데 있는 일곱째는 무엇일까.
내가 품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속이 텅 빈 것 같다. 나이가 몇인데 아직 나를 품고 있는 존재들에 의지해 살아가고만 있는 건 아닌지 부끄럽다. 첫째지만 아직 영영 첫째가 못 될 것 같다. 나는 지금 어디쯤인가. 뒷모습이 쓸쓸한 넷째, 먼 하늘빛 보는 셋째 그쯤일까.
흩날리는 감상으로 서평을 채우자니 또 부끄럽다. 온기만으로는 부족한 내 안의 쓸쓸함 탓이다.
+
유은실 작가님 글만큼 아름다운 그림을 그려주신 김지현 작가님께도 인사를 챙기고 싶다.
시리게 아름다운 그림 그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전쟁은 없고 자연 추위만 있는 시베리아 어딘가로 가만히 고요히 데려다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얀 눈밭에 모든 계절의 꽃이 다 어울려 펼쳐지는 상상을 보여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