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개 낮은산 어린이 5
박기범 지음, 유동훈 그림 / 낮은산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발견하고 개, 고양이를 좋아하는 독자로서 서양 개, 고양이 얘기만 있어 서운하던 중 반갑게 만난 토속 동화라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제목도 강아지, 누렁이가 아니라 <새끼 개> 라니!! 얼마나 정감있는 순수 우리말이란 말인가! 삽화 역시 곱슬곱슬한 털에, 왕방울 눈망울을 하곤 소파의 귀부인 무릎 위에서 우아 떠는 서양 견공이 아니라 짧은 다리, 뱁새 눈을 하곤 찌그러진 밥그릇 옆의 개 집에서 콧잔등 구겨가며 왁왁 짖어대는 우리 동네 누렁이가 아니란 말인가!! ^0^

그러나 정감있는 시골에서 아이들과 흙내음 맡아가는 우리네 얘기를 읽으려던 기대는 몇 장을 넘기며 충격으로 변했다. 책 내용인 즉, 포근한 어미 개의 품을 떠나 낯선 인간의 집에 보내진 후, 아이들의 장난감 노릇을 하다 보호소에 버려져 결국엔 길에서 죽어가는 가엾은 강아지의 일생이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동화답지 못하게(?) 인간이 사과나 반성을 하며 모두 용서되고 화해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소외된 채 세상 한 구석에서 처절하게 생을 마감하는 것으로 끝날 때의 당황스러움이란!

무릇 개란, 1만 2천년의 가축화 역사 내내 인간의 부속품으로 여겨졌기에 어미 개를 떠나는 (너무나 당연한) 새끼의 불안과 슬픔을 되짚어 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작가의 시각은 누구나 보아 왔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던 강아지의 울먹임에 대한 낮은 목소리이다. 이 목소리를 듣고, 어린 시절 내겐 '아기보다 소중한' 내 새끼 개를 옆집 아기가 주물러 터뜨리는 것을 보고도 '개 VS 아기'라는 구도상 아무 소리 하지 못하고, 또 아무도 그 아기를 나무라지 않았던 데 대한 억울함을 조금은 위로받았다고나 할까.

그러나, 한가지 서운한 점이 있는데, 동화 상에서 아이들이 개를 괴롭히는 것은 악의가 아니라 사랑의 방법을 아직 이해하지 못한 무지의 소치라는 점을 덜 짚어 주었다는 것이다. 아이들은 아직 입장바꿔 생각하는 법을 모르고, 그것을 어른들에게 학습 받아야 할 대상인데 책에서는 개가 주인공이다보니 사랑이란 이름의 횡포를 저지르는 아이들이 자칫 악역으로 묘사된 느낌이 좀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사랑이라는 의미를 어떻게 잘못 이해하고 있나를 조명해 보았으면 훨씬 더 포용력 있는 이야기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책을 보면서 누런 한지에 판화 형식으로 그려진 그림이나, 타협없이 다소 도전적인 내용이 얼핏 민중 소설의 느낌을 받았다. 작가를 잘 모르지만,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그의 낮은 목소리가 언제까지나 울려퍼지고, 또 모두에게 들렸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린사회의적 2005-04-03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글을 읽고, 저도 읽어 보았답니다^^* 좋은 책에 대한 리뷰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