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유정은 이 책으로 처음 만나게 되었다. 익히 들어 알고 있었던 제목이지만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책을 읽고 이야기하는 모임에서 한 분이 이 책을 읽어보자 했다. 이렇게 읽지 않았으면 계속 못 읽었을지 모르겠다. 이 신선한 작가를 알게 된 것이 흥미롭다.

 

궁금증을 계속 유발하고, 흡인력이 있다. 책이 잘 넘어간다. 사건이 벌어졌고, 이미 범인도 밝혀져 있지만 궁금한 건 왜? 이다. 최현수가 정말 그 범죄를 다 저질렀을까? 왜 저질렀을까? 오영제가 다 덮어씌운 건 아닐까? 오영제라는 인간은 왜 저렇게 된 걸까? 서원인 앞으로 잘 살아나갈 수 있을까? 등등등.

 

범죄의 내막이 밝혀지고, 7년 후에 새로운 국면에 다다르고, 이야기는 끝났다. 하지만 속이 시원하진 않았다. 대답을 듣지 못한 질문들이 여전히 허공을 떠다니기 때문이다. 독자가 고민해봐야 할 몫이라고 하기엔 아쉬운 부분들이 있다.

 

부유한 집안에서 오냐오냐 키웠다고 다 저런 인간이 되지 않는데, 오영제는 왜 자기 가족에게까지 잔인한 인간이 되었을까? 그때 서원이가 어렸다고는 하지만, 7년 동안 현수는 승환을 통해 사건의 자세한 내막을 서원에게 알려주지 않았을까? 7년간이나 서원은 아빠를 증오하고 원망하며 겨우겨우 살았는데. 오영제는 7년 동안 무엇을 하고 살았을까? 현수가 사형을 당하지 않았으면 그는 언제까지고 기다렸을까? 현수는 왜 전화벨소리에 이은 세령의 아빠소리에 입을 틀어막고 결국 죽이기까지 해야 했을까? 이건 오영제의 질문이기도 했는데, 현수는 결국 그에게 답을 들려주지 않았다.

 

운명이 난데없이 변화구를 던진 밤에는, 안개가 짙고 비가 내리는 금요일 밤에는, 인적이 없고 어두운 호숫가에서는, 죽은 줄 알았던 아이가 눈을 뜨고 아빠라고 속삭여 울 때에는, 자기를 찾는 전화벨이 심장을 두들기는 순간에는, 흔히들 무의식이라고 부르는 혼돈속에서는 무슨 일이든지 일어날 수 있지. 좀 보여줄까.”(122)

 

이게 작가의 답인 것 같지만 쉽게 끄덕거려지지 않는다. 결국 상황과 무의식이 만들어낸 거라는, 현수 자신도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는 거 아닌가? 범죄란 이렇게 고의적이지 않지만 상황에 의해, 나도 모르게 저지를 수 있다는 걸 작가는 말하고 싶은 것 같다.

 

작가의 말에서 정유정은 사실과 진실 사이에는 이 그러나가 있다고 했다. “이 소설은 그러나에 관한 이야기라고 했다. 뭘 말하고자 하는지는 알 것 같으나, 여전히 갸우뚱하다. 최현수의 범죄에 대한 진실은 어느 정도 맞춰졌다고 치자. 그렇다면 오영제에 관한 진실은 무엇일까? 자신이 정한 룰과 규칙대로 움직여야 하는 자기만의 세상을 건드려버린 한 인간과 그 아들에 대한 집요한 복수심 속의 진실을, 나는 잘 모르겠다.

그래도 나름 해보게 된 생각은, 트라우마 같은 어떤 강력한 계기가 아니라도 악인이 탄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A라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B라는 범죄가 발생했다, 라는 인과관계가 깨지는 것이다. 물론 무의식의 영역으로 더 깊이깊이 들어가면 언젠간 퍼즐이 딱 맞춰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제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한에서 합당한 이유를 찾지 못하는 범죄들이 존재했고 계속 벌어지고 있다. 악인은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처음부터 그렇게 태어날 수도 있다……. , 그걸 인정하면 좀 무섭다.

 

반대로도 생각해본다면, 아버지 어머니가 그런 일을 겪고, 7년 동안 그렇게나 시달렸던 서원이가 괜찮은 사람이 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는 사실 그런 게 아귀가 딱딱 맞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살았던 것 같다. 누군가가 좋은 사람 혹은 악인이 되려면 그에 상응하는 영향이 꼭 있어야 한다고. 하지만 정유정은 아닐 수도 있다고 말하는 것 같다. 나 보고 그걸 인정하라는 것 같다.

 

<28>은 갓 읽었고, <종의 기원>도 읽어보고 싶다. <7년의 밤>에서 던져졌던 질문들이 다음 책들에선 어떻게 답을 주는지 어떤지 곰곰이 정리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